“AI 키우기 참 힘들다” 허리휘는 중소 제조업 [집중취재]

AI국 신설 등 시대 발맞추는 道... 기업들은 자본 부족에 기술 포기
제조 환경에 혁신 가져올 인공지능... 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지원 필요
道 “예산 투입… 활용 방안 검토”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없음. 이미지투데이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와 직접적 연관은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1. 반도체 제조용 기계를 생산하는 수원특례시 A기업의 대표는 불량품 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생산 속도가 빠른 배터리 제조공정에선 일반적인 카메라로는 미세한 불량을 검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감사원들이 육안으로 한 번 더 검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생산 속도가 현저히 낮아진다. A기업 대표는 “반도체 분야 검사 장비와 계측 장비의 미세한 불량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카메라를 사용해도 불량품이 나온다”며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려고 했지만,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 포기했다”고 전했다.

 

#2. 요소수와 관련된 제조기업인 B기업(용인특례시)은 AI 안전관리체계가 필수다.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지 모르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물류 창고를 이전하면서 이전에 갖춰둔 AI 안전관리체계를 더 이상 쓸 수 없게 됐다. 새로운 제조환경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B기업은 이를 다시 개발할 전문적인 인력도 없고, 예산도 부담이 큰 상황이다.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AI국을 신설하며 AI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도내 중소 제조기업엔 여전히 문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경기도와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도내 중소 제조기업은 20만2천947개다. 도내 중소기업(211만760개) 중 제조업의 비중은 9.6%를 차지한다.

 

도는 지난 7월 AI국을 신설해 AI시대가 가져올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도민서비스를 발굴하고, AI전문인력 및 기반 등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중소 제조기업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한 자본이 부족하며, 이를 운영할 전문적인 인력도 없는 실정이다.

 

특히 인공지능은 제조 환경에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올 수 있는 핵심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만큼 도내 20만여개의 중소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 같은 상황에도 도는 인공지능 기술 지원이 필요한 기업 현황도 모르고 있어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 관계자는 “AI스타트업과 AI전문인력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조성 예정인 AI클러스터 예산을 활용해 도내 중소 제조기업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제조업 AI 기술 도입… 경기도, 정책 지원 적극 나서야” [집중취재]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217580370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