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부동산 시장 4년 만에 반등…거래량·거래금액 증가

전년比 거래량 3%, 거래금액 19.8% 증가
상가·사무실 하락…부산·인천·서울 거래량 ↑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작년 한 해 전국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인 상승 곡선을 그리며 4년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4년 연간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 거래 특성 리포트’를 13일 발표했다.

 

그 결과 아파트 및 오피스텔, 연립·다세대, 상업·업무용빌딩 등 4개 유형에서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플래닛 제공
부동산플래닛 제공

 

지난 2020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전국 부동산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지난해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전국 부동산 거래량은 103만5천195건으로 전년(100만4천753건) 대비 3.0% 올랐고, 같은 기간 거래금액 또한 304조2천765억원에서 364조6천555억원으로 19.8%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총 9개의 부동산 유형 중 4개 유형의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오피스텔은 전년 대비 20.7%, 아파트는 14.2% 증가하며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고 상업·업무용빌딩은 6.6% 연립·다세대는 4.5% 늘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5개 유형이 활기를 보였다. 상업·업무용빌딩이 전년 대비 44.4%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이어 아파트(31.3%), 오피스텔(27.5%), 연립·다세대(11.0%), 토지(0.2%) 순이었다.

 

반면 전년 대비 거래량이 감소한 5개 유형에서는 공장·창고 등(일반)의 하락폭이 7.4%로 가장 컸고 토지는 6.9%, 단독·다가구 4.8%, 상가·사무실 3.8%, 공장·창고 등(집합)은 1.1% 감소했다.

 

거래금액에서는 공장·창고 등(집합)이 16.4%의 하락률을 보였으며 공장·창고 등(일반)(6.2%), 상가·사무실(5.1%), 단독·다가구(4.2%) 등이 뒤따랐다.

 

대부분은 ‘서울’이 주도했으며, 경기도는 상승·하락의 중간에 위치해있는 수준이었다.

 

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아파트 거래량은 43만182건으로 2023년(37만6천740건)과 비교해 14.2% 증가했으며 거래금액은 전년(150조3천42억원) 대비 31.3% 오른 197조3천848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7월 거래량은 4만8천692건으로 2021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지역은 서울로 연간 거래량은 3만3천659건에서 56.2% 늘어난 5만2천559건, 거래금액은 35조6천934억원에서 75.7% 오른 62조7천38억원으로 확인됐다. 경기는 각각 18.0%, 27.4% 상승했다.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하락 흐름을 보인 세종의 거래량은 전년 대비 12.7%, 거래금액은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플래닛 제공
부동산플래닛 제공

 

상가·사무실 거래건수의 경우 3만9천734건으로 4만1천302건을 기록했던 전년에 비해 3.8% 줄었다.

 

전년과 비교해 거래량이 증가한 곳은 부산(31.8%), 인천(28.2%), 서울(12.2%) 등 3개 지역에 그쳤고, 거래금액이 상승한 곳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이 유일했다.

 

오피스텔은 9개의 부동산 유형 중 거래량 상승폭이 가장 컸다.

 

2024년 전국에서 매매가 성사된 오피스텔은 총 3만3천11건으로 전년(2만7천356건)에 비해 20.7% 증가했다. 거래금액은 2023년(5조4천366억원)대비 27.5% 상승한 6조9천336억원으로 집계됐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작년 전국 부동산 시장은 3년 연속 하향세를 지속하던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상승 전환하며 회복 움직임을 보였다”면서 “지난해 7월 뜨겁게 달아올랐던 아파트 시장, 최근 수익형 부동산으로 각광받는 오피스텔 시장 등 일부 부동산 유형의 매매 활성화가 거래량과 거래금액의 동반 상승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