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서원, 빈곤실태 분석 결과 “경제 상황별 지원 전략 마련을”
인천 시민의 1인 당 평균 자산은 전국 평균보다 적은 반면, 빚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 차이도 크게 벌어지는 등 양극화가 심하다. 지역 안팎에선 이 같은 서민 가계 경제 상황을 토대로 특화한 지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0일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지난 2018~2023년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바탕으로 인천의 빈곤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인천 시민 1인 당 총자산의 평균은 지난 2023년 2억2천314만원으로, 전국 국민 1인당 평균 총자산 2억2천880만원 보다 566만원이 적다.
인천 시민은 총자산에서 금융부채와 임대보증금 등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이 1억4천695만원에 그친다. 이는 전국 평균 1억7천700만원보다 무려 3천5만원 적은 수치다. 이 같은 순자산의 격차는 인천시민의 부채 수준이 전국에 비해 높다는 의미기도 하다. 인천 시민 1인당 평균 부채는 2천655만원으로 전국 평균 1천962만원보다 많다.
특히 인천은 가계 경제의 양극화도 심각하다. 인천시민의 하위 10%에 해당하는 저소득층(1분위)의 시장소득은 지난 2018년 343만원에서 2022년 289만원으로 15.7% 감소했다. 반면 상위 40%인 소득 7분위는 2018년 3천743만원에서 2022년 4천440만원으로 20.9% 증가했다.
여기에 인천의 소득 하위 10%에 비해 상위 10%의 소득격차는 지난 2019년 29.3배로 전국 평균보다 1.9%포인트(p) 높았다. 이후 2022년에는 무려 32.4배로 차이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인천 시민 1인 당 개인 소득은 지난 2022년 기준 2천240만6천원으로 전국 2천338만8천원에 비해 98만2천원이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수도권에 속한 서울(2천611만2천원)과 경기(2천313만6천원) 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선정 인천사서원 연구위원은 “인천은 소득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만큼, 빈곤 완화를 위해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성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년층을 위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 지원 정책과 고령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소득보장사업 개발 등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