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포구, 중·동구 청사 이용 영종구, 민간 건물 임차 활용 검단구, 모듈러 건축물 사용
인천 제물포구 및 영종·검단구가 오는 2026년 7월 출범하는 가운데, 이들 신설 구의 임시청사 계획의 윤곽이 나왔다.
9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2026년 행정체제 개편에 따라 중구 내륙지역과 동구를 통합한 제물포구를 비롯해 중구와 서구에서 각각 영종구와 검단구가 떨어져 나오는 등 모두 3개의 구가 새로 만들어진다.
시는 우선 제물포구는 중·동구 청사를 모두 활용하는 것으로 확정했다. 다만 구체적인 청사 분리 계획 등은 중·동구와 추가 논의를 할 예정이다.
시는 또 영종구의 경우 민간 건물을 임대해 임시청사로 활용한다. 영종구의 임시 청사의 기준 면적은 1만3천718㎡(4천149평)로, 한 민간 건물의 3~10층을 임대해 사용할 계획이다. 1년 임차료는 약 15억~30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영종지역 일대 의료시설 등이 부족하다고 보고, 중구 제2청사는 부지 일부를 보건소로 활용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시는 검단구의 임시청사는 모듈러 건축물로 지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건축물의 주요 부분을 제작하고, 현장으로 운반해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검단구 임시청사 기준 면적은 1만6천642㎡(5천34평)로, 시는 서구 당하동의 검단소방서 인근에 모듈러 건축물을 임차해 사용할 계획이다. 건축물 제작부터 설치까지는 짧게는 3개월부터 6개월까지 걸릴 예정이다. 1년 임차료는 약 30억~50억원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들 임시청사를 올해까지 전반적인 리모델링 설계와 공사, 행정정보 데이터 전환 및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은 마무리할 계획이다. 다만, 필수 민원 인력을 먼저 입주시키는 등 단계별 입주에 대한 시기 및 규모 등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시는 행정체제 개편에 따라 임시 청사 등을 준비해왔다. 시는 서구와 제물포구는 종전 사용하던 청사를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했지만, 영종·검단구는 임대료는 물론 주민 민원 등으로 인해 청사 위치를 정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 때문에 시는 중·동·서구와 행정체제 개편 전담 조직(TF)을 꾸려 임시청사는 물론 관련 법 제정 및 새로운 자치구 출범을 위한 준비 상황을 논의 중이다.
시 관계자는 “우선 올해까지는 청사의 기본 구조나 전산 및 통신 등은 마무리 짓고 내년에는 최소한의 인력 및 사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아직 행정체제 개편이 이뤄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각 구와 논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