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계양TV 앵커기업 유치 '제자리'… 산단·철도망 시급

‘3기 신도시’ 2029년 목표했지만... 광역철도망 조성 움직임 없고
첨단기업 유치 인프라 태부족... 市 “인센티브 지원책 마련 검토”

인천 계양구 계양테크노밸리(TV) 일대 모습. 경기일보DB
인천 계양구 계양테크노밸리(TV) 일대 모습. 경기일보DB

 

인천 ‘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TV)에 국내 첨단산업분야 앵커기업을 유치해 집과 일자리가 함께 공존하는 ‘자족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이 제자리 걸음이다.

 

광역철도 계획은 물론 도시첨단산업단지를 계획의 절반밖에 지정받지 못하는 등 인프라도 갖추지 못한데다, 국내·외적 리스크와 비싼 땅값 등이 투자 유치에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인천도시공사(iH)는 오는 2029년 준공을 목표로 계양구 박촌동·귤현동 등 일대 333만409㎡(100만8천평)에 계양TV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계양TV에는 1만7천가구 규모의 공공주택과 함께 75만7천457㎡(22만9천532평)의 정보통신기술(ICT) 위주의 기업이 자리잡을 첨단산단이 들어선다. 이 첨단산단은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처럼 꾸려져 계양TV의 자족기능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시는 지난 2021년부터 약 30여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유치에 나서고 있다. 현재까지 ㈜케이티(KT), 씨제이㈜(CJ), ㈜엘지유플러스(LG U+), ㈜문화방송(MBC), 에스피반도체통신㈜ 등에서 입주의향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계양TV에 광역철도망 구축 계획 수립이 늦어지는데다, 첨단산단은 계획의 절반밖에 지정받지 못하는 등 기업 유치를 위한 인프라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는 지난 2023년부터 계양TV 첨단산단에 역을 신설해 대장홍대선을 계양역까지 잇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계양구는 대장홍대선이 첨단산단을 거치지 않고 박촌역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면서 협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여기에 첨단산단 지정도 공업지역 해제 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34만7천㎡(46%)만 이뤄져 반쪽짜리에 그치고 있다. 이로 인해 대기업 등 대규모 투자유치가 쉽지 않다.

 

특히 지난해 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본격화로 대기업들이 투자계획을 축소하거나 미루는 등 투자 유치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또 계양TV 첨단산단의 토지 분양가가 3.3㎡당 900만~1천만원대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투자 유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송도국제도시는 땅값이 3.3㎡당 300만~400만원, 남동산단은 3.3㎡당 700만~800만원, 계양산단 3.3㎡당 600만~700만원이다.

 

지역 안팎에선 계양TV가 베드타운에서 벗어나 자족도시로 자리 잡으려면 시와 구 등은 물론 여야 정치권이 힘을 합쳐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 조성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문세종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계양4)은 “우선 지하철 노선의 확정이 이뤄져야 후속 교통 인프라를 마련할 수 있고, 그래야 우수 기업 유치가 가능해진다”며 “또 땅값이 비싼 만큼 시가 적극 나서 세제 해택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와 구는 물론 정치권이 나서 계양TV가 타 지역보다 좋은 혜택을 줘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기업의 투자 결정에 지하철이나 첨단산단 지정 등은 매우 중요한 사항인 만큼, 가능한 빨리 추진하려고 애쓰고 있다”며 “또 다른 지역과 차별화한 인센티브 지원 정책 등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천연구원에서 계양TV에 대한 기업 유치 전략 연구 용역을 하는 등 첫 단추는 꿰었다”며 “이 결과를 토대로 지원 조례 제정 및 인허가 정책 지원 등 세부 정책 마련에 힘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