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첫발 떼는 인천 청라타워... 안팎 콘텐츠가 핵심이다

image
인천 서구 청라국제도시의 청라호수공원에 있는 청라시티타워 건립 부지. 경기일보DB

 

인천경제자유구역은 송도·청라·영종 등 3곳 국제도시 개발이다. 개발 활성화를 위해 각각의 랜드마크를 지으려 했다. 송도는 151층 쌍둥이 빌딩의 인천타워다. 청라시티타워는 청라의 랜드마크다. 30층 높이(448m) 초고층 전망타워다. 서울 남산과 북한 개성까지 조망할 것이라 했다.

 

청라시티타워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개발 초기부터 청라주민들에게 약속한 사업이다. 그러나 차일피일 미루기를 거듭했다. 주민 성화에 쫓겨 2019년에는 성대한 기공식도 했다. 그러나 6년째 엎치락뒤치락하기만 했다. 이번엔 주민들의 ‘희망고문’이 끝날 것인가.

 

인천경제청이 청라시티타워 활용 방안 찾기에 들어간다. 그간 사업을 묶어 놓았던 타워 높이 문제도 해결됐다. 3월부터 ‘청라시티타워 관리·운영 및 타워 외 부지 활성화 전략 수립 용역’을 한다. 448m 짜리 전망대 활용 방안과 타워 내부 시설 구성 계획 등이다. 타워 전체를 활성화할 콘텐츠를 찾는 작업이다. 30만3천㎡(1만평)의 타워 주변 부지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포함한다.

 

인천경제청과 LH는 2023년 청라시티타워 사업 협약을 했다. LH가 사업비를 대고 타워를 건설한다. 인천경제청은 이를 인수, 관리·운영을 맡는다는 협약이다. 이에 따라 LH도 조만간 타워 건설 시공사 선정 입찰에 들어간다. 본래 지난해 8월에 하려 했다. 그러나 타워 높이에 따른 항공 운항 안전 문제로 중단했다. 이 문제도 최근 해결됐다. 서울지방항공청이 관제 영향 용역을 했다. 원안 높이(448m) 건설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LH는 2029년까지 청라호수공원에 청라시티타워를 완공한다. 전체 사업비 8천억원이다. 일정대로 사업이 진행되면 청라시티타워는 국내 두 번째로 높은 빌딩으로 지어진다. 현재 국내 최고층 빌딩은 555m 롯데월드타워다. 국제표준을 엄격히 적용하면 청라시티타워는 마천루, 즉 초고층 빌딩이 아니다. 관광형 복합문화시설의 타워다. 따라서 국내 최고층의 타워 시설로 태어날 것이다. 세계에서도 여섯 번째로 높은 전망 타워다. 날씨 좋으면 북한 개성까지 바라다본다는 말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마천루든 전망 타워든 사람이 얼마나 몰리느냐로 성패가 결정난다. 전망 타워의 사업성이 걸린 문제다. 청라시티타워 사업이 지금까지 지지부진했던 것도 불투명한 사업성 때문이었다. 그래서 이전 민간사업자는 전망 타워에 오피스텔까지 들이겠다고 고집했다. 그래서 이번 경제청의 타워 활용 방안 찾기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성공한 해외 타워들에 대해서도 공부해야 한다. 고래등같이 지어 놓고도 사람이 찾지 않는다면 실패작이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