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입장권 부과금 '부활 시동'…지역영화계 "환영"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경기일보DB

 

‘그림자 세금’으로 여겨지던 영화관 입장권 부과금이 부활할 가능성이 보이자 영화계가 환영 의사를 비췄다.

 

24일 국회 등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지난 21일 전체회의에서 영화상영관 입장권 부과금 제도를 되살리는 내용의 영화·비디오물 진흥법(영비법) 개정안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영화관 입장권 부과금은 입장권 가액의 3%가 입장권 요금에 포함되는 내용이다. 입장권이 1만5천 원이라고 가정할 때 437원이 부과금인 셈이다.

 

지난해 3월 정부는 이 부과금이 ‘그림자 세금’이라며 폐지하겠다는 입장이었고, 올해 1월부터 공식 폐지됐다.

 

하지만 영화계에선 이 부과금이 독립·예술영화를 비롯해 영화 제작과 수출 등을 지원하는 영화발전기금의 주요 재원이라며 산업 위축을 우려해 반발해왔다.

 

이런 가운데 국회 소관 상임위가 재차 개정안을 내면서 영화인들은 반기는 분위기다.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 측은 “대한민국 국회의 부과금 재입법 추진을 적극 환영하며, 영화계와 시민사회의 의견이 널리 수용된 동 법안이 향후 국회 본회의를 최종 통과하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이들은 “입장권 부과금은 영화관을 중심으로 한 산업의 이익이 독립영화, 예술영화, 지역 등에 재분배되도록 해 한국영화의 창의력 증진과 영화문화 다양성의 기초가 돼왔으며 향후 OTT를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의 재원 조성에 중요한 모델이 될 것”이라며 “부과금 신설 재입법은 한국영화의 희망의 불씨이자, 한국영화 재도약의 새로운 초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 지역 영화관 연도별 매출액.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전산망 갈무리
경기도 지역 영화관 연도별 매출액.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전산망 갈무리

 

지역 영화계도 환영하는 모양새다.

 

코로나19 때 대폭 줄어든 영화관 매출과 관객 수가 점차 회복됐다고는 하지만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조짐은 요원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부과금이 ‘희망’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전산망 자료를 분석해보면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지난 2019년 경기도 지역 영화관의 매출액은 약 4천672억원이었다.

 

하지만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리던 2020년, 2021년의 경우 매출액이 각각 1천192억원, 1천420억원을 기록하며 70% 이상 줄었다.

 

그 뒤에도 2022년 2천989억원, 2023년 3천251억원, 2024년 3천51억원 등 매출액 일부가 늘었지만 여전히 과거에 비하면 미진한 수준이다.

 

경기도 지역 영화관 연도별 관객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전산망 갈무리
경기도 지역 영화관 연도별 관객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전산망 갈무리

 

경기도 지역 내 영화관의 관객 수 또한 2022년 약 2천848만명, 2023년 3천187만명, 2024년 3천141만명 등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전인 2019년(5천503만명)에 비하면 60%도 안되는 정도다. 따라서 이번 입장권 부과금 소식이 지역 영화계 입장에서도 달가운 일이다.

 

김건표 대경대 연극영화과 교수는 “부과금 제도가 통과된다면 영화인들에 대한 복지와 창작 환경의 개선을 할 수 있는 물꼬가 트이게 될 것”이라며 “K-콘텐츠 시대가 온 만큼 한국 영화 시장의 발전을 위해 복지 등 제도를 적극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