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도 경기남부광역철도 논쟁에 가세했다. 일부 시장들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이들이 부정확한 주장을 퍼뜨려 도민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철도 사업의 정치화를 중단하라고도 밝혔다. 경기남부광역철도는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3·4차 국가철도망계획에도 16개, 21개 계획이 반영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자신했다.
지난 6일 김동연 경기지사가 강조한 것도 이 부분이다. 당시 김 지사 설명은 도민 청원에 대한 답변이었다. 청원은 ‘경기남부광역철도 추진’을 물었다. 김 지사는 “일부에서 왜곡된 정보로 도민을 불안하게 한다”고 지적했다. 고 부지사의 주장은 이런 김 지사의 주장과 같은 맥락이다. ‘사업 불발’을 조장하는 일부 시장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도 넘은 도정 흔들기가 되레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그르칠까 걱정이라고도 했다.
용인·성남시장은 여전히 불신을 표하고 있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김 지사의 설명은) 책임회피용 변명”이라고 비난했다. 신상진 성남시장도 “실제로는 GTX 플러스 사업 실행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고 부지사의 주장이 상황을 더 정치화시킨 측면이 있다. 침묵하던 수원시까지 논쟁에 끌어들인 역작용이다. “사업비 및 수요, 경제성 검토를 위한 용역은 수원시에서 뒷받침까지 했다”고 한 대목이다.
이상일 시장이 반박했다. “용역은 용인·수원·성남·화성시가 1억원씩 각각 부담해 공동 발주한 것이고, 수원시가 대표로 발주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분은 이 시장의 주장이 맞다. 해당 용역은 4개시가 분담한 비용으로 실행한 공동 용역이었다. 상황은 엉뚱하게도 수원·화성시민들 사이에도 ‘우리 입장은 뭐냐’는 목소리로 번졌다. 지역 철도 사업도 소속 정당의 유•불리로 침묵하는 것이냐는 지적이 등장한 것이다.
사실 이 문제가 복잡할 건 없다. 경기도지사 입장은 ‘잘되고 있다’고, 용인·성남시장 입장은 ‘어려워졌다’다.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느냐 여부로 결판 나는 일이다. 포함된다면 용인·성남시장이 왜곡한 것이고, 제외된다면 김 지사가 거짓말한 것이다. 철도를 원하는 지역민에게는 그렇게 간단하다.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2026~2035년 추진될 사업이다. 이르면 상반기에 나온다. 얼마 안 남았다.
고 부지사가 “사업을 그르칠까 걱정”이라고 했다. 지금은 그렇다. 논란을 키워 경기도에 득 될 것 없다. 국토부로 갈 지푸라기라도 잡는 게 급하다. 그게 지금 일이다. 거짓말 공방은 결과 보고 해도 늦지 않다. 예상컨대 어차피 한쪽에는 치명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