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성조기를 왜 흔드는가

용홍근 예비역 공군 중령

image

어쩌다 보니 대한민국은 세계 지도상 작은 면적을 가진 나라가 됐다.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태양과 달이 움직이는 자연의 이치에 따라 지구상에 크고 작은 땅들이 만들어지면서 이리 정착이 됐다. 이왕 만들어질 거면 조금 더 크게 보다 나은 위치에 자리 잡아 그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고 외세의 도전에도 과감히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었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이로 인해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도전을 받았고 이 땅의 선조들은 이런 무모하고 포악한 도전을 이겨내며 지금 대한민국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국민의 근면한 내적 환경부터 지정학적 외적 요인까지 셀 수 없는 이유와 담론이 있지만 그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미국이라는 존재다. 미국이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고, 무엇을 했고, 앞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 것인지 구태여 말하지 않더라도 대한민국에 끼친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은 역사가 말해주고 있다.

 

혹자는 미국이 있어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는 것이므로 절대 잊어서도 안 되고 앞으로도 손을 잡고 함께 가야 한다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다만 언제까지 이렇게 갈 것인가.

 

영국의 가디언지는 지금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해 한국의 극우정치와 미국의 보수적 상징주의가 독특하게 융합돼 미국을 숭배하기에 성조기를 흔들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는 듯하다. 슬픈 현실이다.

 

흔들리지 않고 바로 보고, 흔들려도 바로 봐야 한다. 우리는 미국의 속국이 아니며 미국을 숭배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미국에 대해 필요 이상의 반감을 가질 이유는 더더욱 없다.

 

미국은 세계 최대 에너지 생산국이자 군사대국이고 세계 최고의 대학을 보유하고 있어 인재를 빨아들이고 있다. 이에 더해 기초과학과 혁신기술을 비롯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출산율은 1.66명 정도로 선진국 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느리다고 한다.

 

이러한 세계의 중심이라고 하는 미국과 지정학적 불리함을 많이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은 동맹국으로서 외교, 경제, 군사 등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간에 서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 밝고 현명한 미래로 나아가면 된다. 구태여 우리의 목소리를 내는 데 태극기와 함께 성조기를 흔들지 않아도 된다.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이지 미국의 속국이거나 미국의 몇십 번째 주가 아니다.

 

한류로 세계를 주름잡고 세계 10대 강국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는 우리의 대한민국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은 누구나 같다. 성조기를 흔들어서라도 마음을 표현하고픈 그들의 마음과 생각을 이해 못하는 바 아니지만 그런 표현보다는 선조와 우리의 자존심을 지키고 보존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