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취약계층 지원 및 시민 건강 등 집중
인천시는 8일 남동노인복지관 대강당에서 ‘시민 중심 복지 실현’을 주제로 ‘2025년 인천시 주요정책분야별 시정공유회’를 했다. 이번 시정공유회는 이달 중 예정한 5차례 시정공유회 중 1번째로, 보건복지국과 여성가족국, 사회서비스원, 여성가족재단 소관 업무를 담았다.
시는 그간 공직 내부에서만 주요 업무를 보고한 방식에서 벗어나 정책의 실질적 수요자인 시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명하고 의견을 들었다.
유정복 시장은 이날 복지 분야 가운데 ‘취약계층 보호’, ‘시민 건강 증진’, ‘복지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시민들에게 정책을 소개했다.
유 시장은 “취약계층을 위해 기초생활보장급여와 인천형 생계급여인 디딤돌 안정소득을 각각 6.42% 인상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천형 SOS 긴급 복지 생계비를 2.14% 인상해 생계 부담을 줄일 계획”이라며 “장애인 생활안정을 위해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도 2.3% 인상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이 밖에도 일상돌봄과 긴급돌봄, 최중증 발달장애인을 위한 통합돌봄 서비스를 확대하고, 사회서비스원의 종합재가센터 운영을 강화한다. 고립·은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전담기관인 청년미래센터를 운영하고 중장년 1인 가구 대상의 통합사회서비스도 지원한다.
유 시장은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해 의료체계 강화와 예방 중심의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위한 응급의료체계를 만들고, 공공심야약국을 34곳으로 확대해 오후 10시부터 오전 1시까지 운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365일 소아 경증 환자에게 외래진료를 제공하는 달빛어린이병원을 8곳으로 확대하고, 65세 이상 어르신 및 노숙자 등 감염병 고위험군을 위한 결핵 조기 발견과 치료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또 복지 인프라 확충을 위해 오는 6월까지 중구 운남동에 장애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을 통합한 복합공공시설을 준공한다. 서구 왕길동에는 오는 9월 청각언어장애인복지관을 착공하고, 계양구 갈현동의 공립 치매전담형 노인요양시설은 내년 상반기 준공이을 목표다.
유 시장은 “이번 시정공유회는 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라고 말했다. 이어 “취약계층을 두텁고 따뜻하게 지원하고 시민 건강을 예방부터 치료까지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