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임용 공고 미달사태 지속 예년보다 정원 ‘두배’ 증가 불구 최종 선발 151명 중 고작 25명 보조인력·편의시설 유인책 필요 도교육청 “채용 확대 대책 마련”
경기도내 장애가 있는 교원을 채용하는 임용 공고에서 미달사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기존 계획된 인원보다 실제 채용 인원이 감소, 교원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임용 예정인 중등 교원 1천933명에서 장애인 의무고용률 3.8%을 적용, 최소 74~75명의 장애 교원을 선발해야 하는 상황이다. 올해는 장애인 고용률을 끌어 올리기 위해 예년 대비 정원 선발 공고를 151명으로 두 배 늘렸다.
하지만 ‘2025학년도 경기도 중등학교교사, 보건·사서·전문상담·영양·특수(중등)교사 임용 후보자 제 1차 시험’에서 합격한 장애 교원은 최종 선발 인원 151명 중 25명(16.5%)에 그쳤다. 선발 인원을 늘렸지만 5분의 1도 채우지 못한 셈이다.
이들이 2차 시험을 거쳐 모두 합격한다고 가정해도 올해 126명의 교원을 뽑을 수 없게 된다.
지난해에도 도교육청은 공립 중등교원 1천733명 중 장애 교원 136명을 선발하겠다고 밝혔지만 최종적으로 31명만이 합격, 105명을 뽑지 못했다.
이처럼 매년 장애 교원의 응시 부족이 반복되지만 이렇다 할 대책은 없다. 도교육청은 매년 ‘장애인 교원 편의지원 조례’에 따라 장애 교원 응시자에 대한 편의 제공을 함께 공고하고 있지만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 현장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인프라가 지역마다 천차만별인 상황에서 장애 교원들이 자칫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곳으로 부임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작용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서울의 경우 다른 광역 지자체에 비해 근무지 이동 범위가 적고 관련 인프라도 갖춰져 있어 올해 장애 교원 응시율이 80.0%를 기록했다.
박병찬 장애인 교원노조 경기지부장은 “장애 교원들은 교통이나 학교 시설 등 인프라에 민감해서 생활 환경이 조금만 바뀌어도 힘들어 한다”며 “장애 교원들이 마음 놓고 응시할 수 있도록 보조인력 지원, 편의시설 제공 등 교육에 몰입할 수 있는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은 “현재 응시 인원 미달, 과락 등으로 선발율이 20%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장애 교원 채용 확대를 위해 관련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1차 시험을 마친 중등교사 임용후보자들은 오는 15일부터 시작되는 2차 시험을 거쳐 다음 달 11일 최종 합격자를 가리게 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