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탑 ‘조류충돌’ 주의 경고 1분 후 조난 신호 비행기록장치 수거… 국토부 “사고 상황 조사”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추락한 여객기 사고 원인에 대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조류 충돌로 여객기의 랜딩기어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참사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29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가 난 여객기의 승무원 중 한명이 구조 과정에서 “조류와의 충돌로 추측된다”라며 “한쪽 엔진에서 연기가 난 뒤 폭발이 발생했다”고 진술했다.
이런 증언과 유사하게 국토교통부는 초기 조사 결과에서 이번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조류 충돌’을 지목했다.
사고 직전 이날 오전 8시57분께 무안공항 관제탑은 해당 여객기에 조류 충돌 주의를 주었고 경고 1분 후인 8시58분께 여객기 기장이 조난 신호인 ‘메이데이’를 선언했다.
여객기는 오전 9시께 당초 착륙해야 하는 방향(01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는데, 1차 착륙을 하려다가 정상 착륙이 불가능해 다시 복행해 착륙을 시도했다. 이후 3분 후인 9시3분께 랜딩기어를 내리지 않은 채 이 활주로에 착륙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 충돌 이외에도 기계적 결함이 참사의 주 원인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조류가 랜딩기어 쪽에 들어가 작동을 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기계적인 결함으로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며 “사고 당시 영상을 보면 조류는 보이지 않고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에서 착륙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해당 여객기의 2가지 블랙박스 중 비행기록장치의 수거를 마친 상태이며 나머지 음성기록장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추가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국토부는 세부적인 사고 상황과 원인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사고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는 가운데 온라인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음모론까지 퍼지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온라인 카페에선 이번 사고 직전인 지난 27일 주식시장에서 누군가가 제주항공 주식을 대량 매도했다는 글이 주가 그래프와 함께 게시됐다.
또 한 누리꾼은 “제주항공은 내란 지시를 받은 블랙요원들이 폭파 및 소요 사태를 시도한 청주공항과 대구공항에도 자주 입항하던 여객기”라고 주장했다.
사고 상황을 전하는 한 방송사의 중계 화면에 1초간 ‘817’이라는 숫자가 나왔다가 사라졌다며, 북한의 대남 공작 지침인 ‘817 방침’이 아니냐는 글도 퍼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