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교과서 도입을 놓고 중앙 정부에서 잡음이 흘러나오면서 인천시교육청도 혼란에 빠졌다.
17일 국회와 시교육청 등에 따르면 내년 2025년부터 도입을 앞둔 AI 디지털교과서가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법안이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단독으로 처리했다. 여당인 국민의힘 7명은 전원 반대표를 던졌고,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 11명은 찬성했다. 이번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AI디지털교과서는 의무도입이 아니라 학교장 재량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된다. AI디지털교과서는 내년 학기부터 초등학교 3~4학년·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1학년의 수학, 영어, 정보 과목에 적용할 계획이었으나 불투명해졌다.
더불어민주당은 학부모와 교사들 반대 여론과 문해력 저하 우려를 근거로 들었다. 최근 일선 교사들을 중심으로 AI디지털교과서가 오히려 업무부담을 늘리고 학생들 집중력 저하 문제 등이 생길지도 모른다는 우려에서다. 또 구독료로 약 4조7천억원에 가까운 예산이 든다는 전망이라는 점도 근거로 삼았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은 “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의 94%가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며 “에듀테크 기업의 이익 극대화와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문정복 민주당 의원도 “수업 시간에 아이들 휴대폰을 뺏자고 하는 상황에서 AI디지털 기기를 지급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의문”이라며 “교육 자료로 가고 충분히 검증된 이후에 교과서로 채택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여전히 AI디지털교과서가 교과서 지위를 획득하도록 노력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주호 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교육 평등의 측면에서도 AI 디지털교과서가 참고서로 격하된다면 교육 기회 박탈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당장 내년도 도입을 앞두고 교육부와 국회의 의견이 대립하자 인천시교육청 역시 비상 상태다. 시교육청은 당초 AI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대응하기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노트북을 제공하고 교사들을 연수 시키는 등 기반을 쌓고 있었기 때문이다.
인천시교육청은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면서 방안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중앙 정부의 기조가 바뀔 때마다 현장에서의 혼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일단 이번 달 말 국회 본회의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개정안은 오는 30일 국회 본회의 처리를 앞두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