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재원 경기일보 지역사회부 기자
안산시가 어린이 생명 수호를 위해 195억원을 들여 사동 호수공원에 조성한 생존수영장의 안전이 흔들리고 있다.
돔 형태의 수영장 지붕 일부가 최근 내린 폭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무너져서다.
특히 시는 해당 시설 조성을 위한 협상 과정에 시공사가 제안한 제설장치인 ‘융설시스템’을 설계용역사 구조기술사의 의견을 근거로 설치하지 않아 사고를 자초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시는 2019년 9월 생존수영장 조성을 위한 타당성 조사 및 설계용역 등의 절차를 거쳐 2022년 2월 전자입찰 방식을 통해 착공했다.
위치는 사동 호수공원 내 기존 야외수영장으로 8천143㎡ 규모의 막을 씌워 에어돔 수영장으로 변경해 조성했다.
어린이들이 스스로 안전은 물론이고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확대 운영을 통한 차별화된 정책 실행이 취지다.
이런 가운데 해당 시설에 보내는 시선이 곱지 않다. 공사 과정에 관계 공무원이 전자입찰 방식을 통해 낙찰된 업체에 공사를 특정 업체에 넘기라고 강요했다는 내용의 고소장이 수사기관에 접수돼서다.
여기에 시공사가 물품 납품 기일을 지키지 못하는가 하면 공사 당시 사업비 문제로 수영장 방수포 및 체온조절 시설과 위생·기계설비, 배수공사 등을 누락한 채 공사를 발주해 현재 관련 보완공사가 진행되면서 개장도 지연되고 있다.
인근 아파트 주민들은 에어돔 표면에서 반사되는 햇빛으로 불편을 느끼고 있다며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생존수영장은 출발부터 문제점이 노출됐다.
먼저 기계공사를 감독할 공무원이 없어 토목직 공무원이 기계공사 감독업무를 맡는가 하면 에어돔 특성상 내부 공기압만으로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는 건축물인 만큼 많은 유지관리비로 인한 부담을 감안해야 한다는 단점도 안고 있다. 에어돔 내부 중간에 철골 구조물 설치를 통해 안전성을 보강한 건 에어돔 자체가 불안전하다는 점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 없다.
안전이 최우선시될 수 있도록 구조적인 문제 개선을 통해 더 큰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