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남부광역철도 후순위 배치해 “의논없이… 선거 공약 협약 배신”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두고 연일 목소리를 내온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경기도 입장 뒤에 숨은 김동연 경기도지사에게 일대일 토론을 제안했다.
28일 시에 따르면 이 시장은 이날 오전 9시 예정된 기자회견을 진행하려 했으나 폭설로 교통 사정이 안 좋고 제설작업에 주력해야 하는 점을 고려해 회견을 취소하고 보도자료를 통해 입장을 냈다.
전날 오후석 경기도 행정2부지사가 발표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대한 경기도 입장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차원에서다.
이 시장은 경기도의 변명 뒤에 숨은 김 지사의 태도를 작심 비판했다. 그는 “김 지사가 직접 나서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선거 때 한 공약과 4개 시 시장과 맺은 협약을 배신하는 선택을 한 데 대해 설득력 있는 논리로 설명할 자신이 없기 때문일 것”이라고 몰아세웠다.
앞서 용인시는 수원‧성남‧화성시와 함께 420만 시민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서울 종합운동장역~수서역~성남 판교~용인 신봉‧성복동~수원 광교~화성 봉담)을 공동으로 추진해 왔다.
문제는 경기도가 광역철도사업 우선순위에서 해당 사업을 후순위로 배치하며 불거졌다.
용인 등 4개 시 공동 용역에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의 비용 대비 편익(B/C) 값이 1.2로 높게 나왔는데도 경기도가 이 사업을 GTX 플러스 3개 사업(GTX G·H 신설과 C 연장) 뒤에 배정한 것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결정이 지역균형 발전을 고려했다는 입장이고 이 시장은 이에 반발하고 있다.
이 시장은 “김 지사가 2022년 6월 지방선거 때 지하철 3호선 연장을 공약했고 2023년 2월 용인·수원·성남·화성시 등 4개 시 시장들과의 협약에서는 지하철 3호선 연장 또는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3호선 연장 대안)을 함께 추진하자고 했는데 그때엔 김 지사 머릿속에 지역균형 발전 개념이 없었다는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또 이 시장은 김 지사가 지난해 2월 4개 시 시장과 협약을 하면서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에 대해 함께 의논하고 함께 해결 방안을 찾아 중앙부처 건의도 앞장서서 열심히 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는데 왜 의논 없이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뒷전으로 미루고 GTX 플러스 3개 사업만 앞세워 슬그머니 국토교통부에 건의했는지 의문을 표시했다.
또 오 부지사가 회견에서 “경기도가 부득이 (GTX플러스 사업) 3개 노선을 국토부에 건의하면서 동시에 경기도 사업 모두를 적극 검토 반영해 달라고 함께 요청했다”고 말한 데 대해 이 시장은 이 역시 도민을 호도하는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이 시장은 “국토부가 경기도 광역철도사업 가운데 세 개만을 선택하겠다고 한 것을 잘 아는 경기도가 김 지사의 GTX플러스 사업 3개를 최우선 순위로 건의해 국가철도망 계획에 사실상 그것만 반영되도록 해놓고 지자체의 여러 사업도 도가 챙기는 것처럼 포장하는 것은 정직하지 못한 태도”라고 말했다.
이에 그는 김 지사의 GTX플러스 3개 사업과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의 경제성과 효과를 철저하게 비교 평가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이 시장은 “경기도가 GTX플러스 3개 사업에 대해 도민 세금으로 용역을 줬으니 그 결과를 정정당당하게 공개해 도민들이 타당성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도가 공개하지 않을 경우 정보공개청구운동에 들어갈 것이며 국토부에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어느 사업이 비교우위에 있는지 면밀하게 검토해 달라는 요청도 지속적으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