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노역했던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서 24일 추도식이 열렸으나, 한국과 일본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반쪽짜리' 행사로 진행됐다.
한국 정부는 행사 하루 전 불참을 결정했으며, 현지에서는 일본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주최로 일본 측 인사들만 참석한 가운데 추도식이 진행됐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원래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과 박철희 주일 한국대사를 포함한 한일 정부 관계자가 함께 참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를 대표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이 과거 태평양전쟁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이력이 문제가 됐다.
한국 정부는 이쿠이나 정무관의 참석이 강제노역 피해자 유족을 모욕하는 부적절한 처사라고 판단해 불참을 결정했다.
추도식은 이날 오후 사도섬 서쪽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일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인사들만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행사에는 이쿠이나 정무관을 비롯해 하나즈미 히데요 니가타현 지사, 와타나베 류고 사도시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행사 순서는 묵념, 추도사 낭독, 헌화로 구성됐으며, 한국 측 불참으로 인해 추도사는 이쿠이나 정무관만 낭독했다.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었던 한국 유족 9명은 이미 일본에 도착한 상태였다. 이에 한국 유족들은 주일 대사와 함께 사도섬에서 별도의 자체 추도식을 열고 강제노역자 관련 시설을 시찰하며 피해자들을 추모했다.
이번 추도식은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때 일본이 한국과의 협력을 약속하며 매년 열기로 한 첫 행사였다. 그러나 행사 공식 명칭과 진행 방식부터 양국 간 이견이 드러났다.
일본 측은 추도식 명칭에 '감사'라는 표현을 포함하려 했으나 한국 정부의 반대로 제외됐고, 추도 대상도 명확히 언급되지 않은 '사도광산 추도식'이라는 모호한 명칭으로 진행됐다.
사도광산은 에도시대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전쟁 시기 전쟁 물자를 확보하기 위해 구리 등 자원을 채굴하는 곳으로 이용됐다.
이 과정에서 약 1천500명 이상의 조선인이 강제 동원돼 혹독한 환경 속에서 차별받으며 일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역사를 직시하고 피해자에 대한 진정성 있는 추모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이번 사태는 지난 2015년 군함도(端島·일본명 하시마) 사태와 같은 상황이어서 한국이 다시 이용만 당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당시 일본은 강제노역 실상을 반영한 강제동원 정보센터를 설치하기로 하고 2020년 3월 산업유산 정보센터를 도쿄에 개관했다.
전시물은 오히려 조선인에 대한 차별은 없었다는 내용을 담아 논란이 됐다. 위치도 군함도가 있는 나가사키에서 1천㎞ 넘게 떨어진 도쿄여서, 군함도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실상을 알리는 못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