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급 직제 신설 및 전문위원 정수 확대라는 경기도의회의 숙원이 이뤄지면서 김진경 도의회 의장(더불어민주당, 시흥3)이 환영의 뜻을 밝혔다.
김 의장은 7일 “전국 최대 광역의회인 도의회는 그동안 의회사무처의 조직적 한계 해소와 운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지방의회 중간 직급 신설을 강력히 요구해 왔다”며 “아울러 점차 늘어나는 의원 수에도 행정 의정을 지원하는 전문위원 수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을 국회와 정부에 거듭 피력해왔다”고 전제했다.
이어 “중앙지방협력회의의 이번 제도 개선안 의결은 도의회를 비롯한 전국 지방의회 도약을 위한 유의미한 진전이자 온전한 독립에 한 걸음 더 다가선 역사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도의회는 앞으로 한층 더 강화된 의정 역량을 통해 1천410만 경기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방자치, 자치분권의 내일을 선도하는 데 더욱 힘쓰겠다”고 했다.
앞서 행정안전부의 지방조직 제도 개선 TF가 지난 3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6차례 걸친 회의를 마치고 3급 신설 등 지방 조직 관련 제도 개선안의 밑그림을 완성(경기일보 10월28일자 1면)한 바 있다.
대통령과 17개 시도지사가 포함된 중앙지방협력회의는 전날 이를 공식화하면서 “경기도의 경우 의원수가 156명으로 정수기준 상한 131명을 초과, 의원 수에 비례하는 전문 위원 정수 확보가 불가했다”며 “전문위원 정수기준을 확대해 적정 규모 전문위원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또한 “서울과 경기는 다른 시도에 비해 정원,, 하부조직 수 등 통송범위가 과도해 3급 기구 설치를 통한 범위 완화가 필요하다”며 3급 신설을 결정하기도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