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우크라 직접 무기 지원 배제 안 해…방어 무기 우선 고려"

“북한군 관여 정도에 따라 단계별 지원방식 바꿀 것”

image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대해 “북한군의 관여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지원방식을 바꿀 것”이라며 “무기 지원도 배제 안 한다. 상황을 보면서 방어 무기부터 우선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담화에서 “우리가 어려울 때 국제 사회 도움을 많이 받아서 우리도 외국의 불법적인 침략으로 어려움을 받은 나라를 도와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는 필요한 무기들이 미국과 EU에서 들어오는데 군인들 월급도 줘야 하고 돈이 많이 필요하다”며 “우리는 그런 면에서 필요한 약품이나 물자, 자금 이런 쪽으로 지원을 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러시아에 군복과 당당하게 북한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고 위장해서 들어가는 용병이기 때문에 러시아로부터 민감한 안보를 치명적으로 위협할 수 있는 민감한 군사 기술의 이전이 있을 수 있다”며 “북한은 우리랑 달리 실전 경험이 없다. 용병을 보냈다는 이야기는 있지만 대규모 군대가 가야 작전 체계가 실전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는 월남전에 10년간 파병해서 실전을 겪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군은 그게 굉장한 강점이다. 전쟁이 벌어지게 되면 보병과 정규 작전을 해나가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게릴라전은 한계가 있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실전 경험이 있고 PKO나 이라크전 등 전장을 많이 경험했다”고 했다.

 

image
1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문화정보부 산하 전략소통·정보보안센터(SPRAVDI)가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이 줄을 서서 러시아 보급품을 받고 있다고 공개한 영상. 연합뉴스

 

앞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우크라이나 등과 협력 방안을 논의한 정부 대표단이 4일 귀국했다.

 

홍장원 국가정보원 1차장이 이끈 정부 대표단은 지난달 28∼29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 있는 나토 본부와 유럽연합(EU)을 방문한 뒤 우크라이나로 건너가 북한군 파병 상황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 대표단은 우크라 측과 북한군 동향 파악을 위해 우크라이나에 참관단 혹은 모니터링단 등을 파견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모니터링단이나 전황 분석단 파견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