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도의회·도교육청 정책토론회…“‘발암물질 놀이터’ 해결 위해 시설·제도 개선 공동 대응”

1일 수원 CJ키즈빌 어린이집 원아들이 경기도의회 중회의실을 방문해 ‘경기도 안전한 어린이 놀이터 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 시작에 앞서 직접 만든 손피켓을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지민기자
1일 수원 CJ키즈빌 어린이집 원아들이 경기도의회 중회의실을 방문해 ‘경기도 안전한 어린이 놀이터 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 시작에 앞서 직접 만든 손피켓을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지민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이 ‘발암물질 고무바닥재’ 논란 해결을 위해 시설 및 제도 개선, 예산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경기일보가 보도한 유치원‧초등학교 놀이터 탄성포장재 바닥재 내 발암물질 검출 논란(경기일보 7월1일자 1‧2‧3면 등 연속보도)이 국정감사까지 달구자 정책 토론회를 개최, 이 같은 의견을 모은 것이다.

 

1일 도의회는 도의회 중회의실에서 ㈔한국체육시설안전관리협회(이하 협회)와 함께 ‘경기도 안전한 어린이 놀이터 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유영일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부위원장(국민의힘·안양5)이 좌장을 맡은 이날 토론회는 안을섭 대림대 스포츠학부 교수 겸 협회장이 발제자로, ▲임봉우 단국대 운동의과학과 교수 ▲양인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책임연구원 ▲이나현 도교육청 시설안전지원팀장 등 도·도교육청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안 회장은 경기일보 보도를 비롯한 많은 연구 결과가 고무 바닥재 내 유해성을 알리고 있지만 정부와 교육 당국, 지자체 모두 적극 대응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관리가 용이하다는 이유로 곳곳에 설치된 고무 바닥재가 발암물질을 품고 있다는 것은 심각하게 대응해야 할 사안”이라며 “전국의 어린이 놀이터가 정말 안전한가 대한 질문을 던질 때다. 경기도가 이 숙제를 선도적으로 잘 해결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안 회장은 도와 도교육청에 ‘고무 바닥재 설치 전후 유해성 검사 강화’를, 도의회에는 관련 조례 제·개정을 주문했다.

 

이어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고무 바닥재 안전 검사 기준과 시설 모두 실질적으로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임봉우 단국대 교수는 “도내 어린이 놀이시설은 전국의 4분의 1 수준으로 치밀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우리나라 안전 관리 기준은 법령마다, 부처마다 충돌하는 실정”이라며 “상이한 안전 관리 기준을 조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양인규 책임연구원 역시 “유해성 물질 종류와 그에 따른 논란이 증가하고 있지만 측정, 대응 방법은 부처별로 달라 지자체, 시험연구원 모두 혼란이 이는 실정”이라며 “시설 안전 기준에 대한 표준 정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나현 도교육청 시설안전지원팀장은 “아이들의 놀이터에서 기준치 이상의 발암물질이 검출되고 있지만, 현행 품질 기준과 차이가 크다는 점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며 “정부에 안전 관리 기준 개선을 요구하는 한편, 시설 개선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날 수원 CJ키즈빌 어린이집 교사들과 원아들은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놀이터를 만들어주세요’, ‘안전한 놀이터를 찾습니다’ 등이 적어 만든 손팻말을 들고 행사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유 부위원장은 “오늘 도출된 대안과 의견이 실제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정책적, 예산적 대응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