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만성적자에 꼴찌 경영평가... ‘인천의료원 이용’ 캠페인이라도

image
인천 동구 송림동 인천의료원에서 시민들이 진료 문의를 하고있다. 경기일보DB

 

과거 살림살이가 어렵던 시절, 도립병원이나 시립병원은 시민들 가까이 있었다. 관록 있는 의료진에 합리적인 병원비 등 친근하게 다가왔다. 그러나 소득 수준이 올라가면서 의료기관 눈높이도 달라졌다. 저마다 이름난 병원만 찾으면서 공공의료원이 한산해져 갔다. 환자가 없으니 의사를 못 채우고 다시 환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이다.

 

인천의료원도 수십년간 이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 듯하다. 올해 경영평가에서 최하 등급을 받았다고 한다. 재정 관리나 의료 부문 성과까지 모두 낙제점을 받았다. 64.95점으로 ‘마 등급’을 받았다. 인천시 산하 12개 기관의 평균점수(77.85점)에도 한참 떨어지는 성적이다.

 

우선 리더십 부문 성적부터 좋지 않다. 2022년 기준 경영평가의 개선 권고 사항 이행률이 46%에 그쳤다. 총액인건비도 15억원을 초과하는 등 2년 연속 위반으로 나타났다. 원외 무료검진 서비스 지원 실적도 아주 저조했다. 양질의 의료 평가 점수는 74점이었다. 직원 만족도 점수도 58.8점에 그쳤다. 채용 비리 등으로 인한 감점 사항도 있었다.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이나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 등도 기준에 미달해 감점을 받았다.

 

인천의료원은 적자경영이 이어지고 있다. 2020년 202억원, 지난해 277억원의 적자를 냈다. 올해도 257억원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코로나19 손실보상금 중단의 타격이 크다. 엔데믹을 맞아서도 병상가동률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그간 모아둔 이익잉여금이 바닥나는 등 자금난이 심각하다. 이에 인천시는 내년 의료원 출연금에 운영지원자금 145억원을 더 보태 인천시의회에 제출해 놓은 상태다.

 

물론 인천의료원만의 문제가 아닌 것도 현실이다. 전국의 각급 공공의료원들이 공통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2년 연속 총액인건비 위반 등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을 것이다. 의료진을 충원해야 병원이 돌아갈 터인데 현실은 만만치 않다. 인천의료원의 의사 임금은 민간 병원의 70% 수준이라고 한다. 안 그래도 의사가 부족하니 의사 찾기가 더 어렵다. 이에 인천의료원은 그간 인천시에 총액인건비 운영에서 의사 임금은 예외로 해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만성적 경영위기의 공공기관이 뚜렷한 자구책이나 혁신 방안도 없어서는 곤란하다. 그래서는 시민 세금에 의한 경영 지원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것이다. 환자 수 급감이 1차적 문제라면 지역사회가 나설 필요도 있어 보인다. 지역 지도층이나 공공 부문에서부터 ‘인천의료원 이용’을 솔선수범하는 등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