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 총파업 경고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15일 오전 10시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총파업을 경고했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15일 오전 10시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총파업을 경고했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15일 오전 10시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시도교육청 간 집단 임금교섭이 결렬됐다”며 총파업을 경고했다.

 

학비연대는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전국여성노조 3개 노조로 이뤄진 조직으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과 매년 집단 임금교섭을 해왔다. 이번 년도에도 학비연대는 지난 7월24일부터 충남교육청 등 교육청들과 3차례 본교섭과 5번의 실무교섭을 진행했으나 지난 10월10일 교육청과 학비연대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해서다.

 

학비연대는 이번 교섭에서 2유형의 기본급을 월 198만6천원에서 11만270원 높여 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교육 당국은 요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5만3천500원 인상을 고수해 협상은 결렬됐다.

 

학비연대는 명절휴가비의 경우도 교육공무직이 9급 공무원보다 최소 50만원부터 최대 250만원까지 적은 점을 고려, 지급기준을 정규직 공무원과 일치시켜 달라고 요구했다.

 

학비연대는 “명절휴가비의 경우 사측은 연간 10만 원 인상안 제시에 그쳤다”며 “동일 금액을 달라는 것도 아니고 정규직과 같은 기본급과 근속수당의 120%라는 지급 기준이라도 적용해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심각한 저임금 결원사태에 직면한 학교 급식 노동자의 처우에 대해서도 사측은 임금·고강도 노동의 심각성을 인정하면서도 질질 시간만 끌며 대책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학비연대는 총파업을 준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학비연대는 파업 찬반 투표를 하고 찬성이 높고, 교육청의 달라진 모습이 없다면 파업을 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비연대 관계자는 “교육청의 전향적 교섭 태도와 진전된 수정안 제시를 촉구한다”며 “노조 또한 노사 간 접점 형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상황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파업 찬반 투표가 끝나는 10월25일이후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