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아세안, 평화·번영·상생 위한 미래 동반자"

韓-아세안, AI, 디지털 경제 등 미래 산업에서도 협력 증진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3개 분야 중심 강화

image
아세안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9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왓타이 국제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차 라오스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한국과'포괄적전략동반자'로 관계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했다.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3개 분야를 중심으로 전방위 협력을 강화한다. 과학과 기술, 혁신, 인공지능(AI), 디지털 경제 등 미래 산업에서도 협력을 증진키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 후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아세안은 이전까지 11개 대화 상대국 중 미국과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등 5개 국가와만 포괄적전략동반자관계를 맺어왔다. 우리나라는 1989년 한-아세안 대화 관계를 수립한 지 35년만에 아세안과의 관계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했다.

 

관계 격상에 따라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3개 분야에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정치·안보 분야에서 오는 11월 한-아세안 첫 국방장관 대면 회의를 개최하고, 아세안의 사이버안보 역량 강화 지원을 비롯한 전략적 공조와 안보 협력 수준도 높이기로 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싱크탱크 다이얼로그 출범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착수 △스마트 시티 협력 등을 추진한다.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향후 5년간 아세안 출신 학생 4만명에 대한 연수 사업을 추진한다. 내년에는 이공계 첨단분야(STEM) 장학생 사업도 발족한다.

 

공동성명에는 더욱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하며 회복력 있고 연결된 미래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 기술, 혁신, AI, 디지털 경제, 창조 산업,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농업, 스마트 시티, 스마트 모빌리티, 재생에너지, 미래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증진한다는 문구가 삽입됐다.

 

또 아세안 기후변화센터(ACCC), 한-아세안 메탄행동파트너십(PARMA)을 포함한 환경·기후변화 대응 이니셔티브를 이행하고,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회복력, 녹색전환, 에너지 안보, 순환 경제, 청색경제,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윤 대통령은 "한-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후 지난 35년간 구축해 온 신뢰와 협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아세안 관계를 최고 수준인 '포괄적전략동반자관계로 격상하게 됐다"며 "한국과 아세안의 관계는 호혜적 파트너십을 토대로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