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신도시 61% ‘선도지구’ 경쟁 출사표…분당 동의율 90% 넘어

각 지자체 평가 진행... 오는 11월 선정결과 발표 예정

image
분당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공모 접수결과. 국토교통부 제공

 

수도권 1기 신도시(분당·일산·중동·평촌·산본) 재건축 선도지구 지정을 위한 공모에 1기 신도시 지역 아파트 단지 60%가량이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당에선 아파트 단지 70%가 선도지구 공모에 신청했으며, 평균 주민동의율이 90%를 웃돌았다.

 

국토교통부와 1기 신도시 소관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 고양시(일산), 성남시(분당), 부천시(중동), 안양시(평촌), 군포시(산본)는 29일 선도지구 공모 제안서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1기 신도시 정비 선도지구 선정 공모에 제안서를 제출한 구역은 162개 특별정비예정구역 중 61%에 해당하는 99개 구역으로, 가구 수는 15만3천가구다. 이는 1기 신도시 전체 주택 수(주택 재고) 29만가구의 53%에 이른다.

 

특별정비예정구역은 지자체가 정비기본계획을 통해 재건축이 필요한 단지 2∼4개가량을 묶어서 지정해 놓은 곳이다.

 

이번에 신청이 들어온 가구는 최대 물량의 3.9배 수준으로, 앞서 정부는 선도지구로 분당 8천가구, 일산 6천가구, 평촌·중동·산본 각 4천가구 등 총 2만6천가구를 지정, 지역 여건에 따라 지자체가 기준 물량의 50%를 추가 지정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image
분당신도시 전경. 성남시 제공

 

특히 분당의 선도지구 경쟁이 치열하다.

 

공모 대상인 특별정비예정구역 67곳 중 70%(47곳)가 참여했다. 가구 수 기준으로 가장 규모가 큰 곳은 수내동 양지마을(한양3·5·6, 금호1·6, 청구2단지)로 총 4천406가구다.

 

분당에서 선도지구를 신청한 곳의 가구 수는 총 5만9천가구이며, 공모 신청 구역의 평균 동의율은 90.7%에 이르렀다. 분당 선도지구 신청 구역 중 동의율이 가장 높은 곳은 95.9%였다.

 

일산에서는 공모 대상 특별정비예정구역 47곳 중 47%인 22곳이 참여했다. 규모가 큰 곳은 마두동 강촌마을 3·5·7·8단지(3천600가구), 백마마을 3·4·5·6단지(3천300가구)다.

 

신청 구역의 총가구 수는 3만가구로, 최대 선정 규모(9천가구)의 3.3배 수준이며, 평균 주민동의율은 84.3%다.

 

평촌에서는 공모대상 특별정비예정구역 19곳 중 9곳(47%)이 참여했다. 해당 구역 가구 수는 1만8천가구이며 평균 동의율은 86.4%다.

 

평촌 선도지구 신청 구역 중 가구 수 규모가 큰 곳은 은하수5·샛별6단지(3천200가구), 샛별한양1·2·3단지(2천700가구), 샘마을임광 등(2천300가구)이다.

 

중동에서는 특별정비예정구역 16곳 중 12곳(75%)이 선도지구에 지원했다. 중동은 재건축을 통해 높일 수 있는 용적률(기준 용적률)이 350%로 1기 신도시 중 가장 높은 곳으로, 신청 구역의 가구 수는 2만6천가구, 평균 동의율은 80.9%다.

 

중동에선 미리내마을(4천200가구), 반달마을A(4천500가구) 등의 규모가 크다.

 

중동은 선도지구 평가 100점 가운데 주민동의율이 90%를 넘으면 최고점 70점을 준다. 95%를 넘어야 최고점 60점을 주는 다른 4개 신도시와 달리 동의율이 평가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산본에서는 특별정비예정구역 13곳 중 9곳(69%)이 공모에 참여했다. 가구 수는 2만가구이며 평균 동의율은 77.6% 수준이다. 규모가 큰 곳은 퇴계1차 등(4천가구), 세종주공 등(2천600가구)이다.

 

한편 선도지구 제안서를 접수한 각 지자체는 각기 내세운 기준에 따라 평가를 진행, 오는 11월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