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대장동 자원순환센터 인근 계양구와 광역화 추진하나?

일각, 부천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 논란 재점화 가능성↑
市, “이미 입지 선정을 위한 전략환경영향평가 중…‘광역화 불가능’”

부천시 오정구 벌말로 122번지 부천시자원순환센터 전경. 김종구기자.
부천시 오정구 벌말로 122번지 부천시자원순환센터 전경. 김종구기자

 

부천시의 대장 자원순환센터 관련 인근 지자체인 인천 계양구와의 광역화 논란이 재점화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계양을이 지역구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표 연임에 성공해 쓰레기 처리문제가 지역구 핵심과제로 대두해서다.

 

7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3월 노후화된 대장동 자원순환센터(소각장)를 대신해 인천·서울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광역) 소각장 신설계획을 백지화하고 자체 발생 쓰레기만 처리하는 시설로 조성키로 결정했다.

 

앞서 시는 2020년 11월 인천 계양구 및 서울 강서구 등과 함께 사용하는 광역 소각장으로 짓는 계획을 마련했다. 광역 소각장으로 건립하면 정부 지원금 규모가 커져 시 부담 예산을 절감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소각장 인근 주민들이 다른 지역 쓰레기까지 받을 수 없다며 반발해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대장동 소각장은 하루 300t 처리용량이지만 노후화로 200t가량만 소각하고 나머지 100t은 수도권매립지로 보내고 있다.

 

시는 새로 건립할 소각장은 하루 쓰레기 처리량을 500t으로 늘릴 계획이다. 사업비는 2천700억원가량으로 추산된다.

 

시는 지난해 5월과 7월 2차례 입지선정 공고를 냈지만 소각장을 유치하려는 지역이 없어 입지선정위를 꾸려 연내 결정할 방침이다.

 

최근 인천시는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앞두고 민간 소각장을 이용해 쓰레기처리하는 방안을 선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다음 지방선거에서 이재명 대표가 계양구 쓰레기문제 해결책으로 조용익 시장에게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 논의를 요구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지역 정가에선 송영길 전 대표가 장덕천 전 시장과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를 추진해 계양구 쓰레기문제를 협의한 전례가 있어 이재명 대표도 대장동 소각장 광역화를 재점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역 정치인 A씨(57) “이미 대장동 소각장 단독화를 선언한 조용익 시장이 이재명 대표가 광역화 논의를 요구하더라도 결정을 번복하긴 쉽지 않겠지만 을 것”이라며 “하지만 막강한 당권을 쥔 이 대표가 실제로 공식적인 라인을 통해 광역화를 제안하면 반대하기도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 B씨(60)는 “시가 대장동 소각장에 단독 시설 추진을 공식화한만큼 번복은 어렵다”며 “광역화 논란이 제기된다며 주민들의 반발은 과거보다 더 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광역화 재논의는 금시초문이다. 대장동 소각장은 부천 쓰레기만 처리하는 시설로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이고, 입지 여러곳을 놓고 평가 중”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