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개막, 11월 30일까지 전시 영남지역에 남겨진 추사 가문의 글씨와 현판 등 대표작품 선보여…20세기 영남지역 추사체를 계승한 여러 작품도 함께 전시
과천 추사박물관이 ‘영남을 찾아간 추사’라는 주제로 오는 11일부터 11월 30일까지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전시되는 글씨·현판·서화 등 작품을 통해 추사 가문 및 추사 김정희 선생이 영남지역과 어떠한 관계를 맺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3부로 구성됐다. 제1부 ‘영남과 추사 가문’에서는 추사의 생부인 김노경(金魯敬,1766∼1837)이 경상도관찰사로 재임한 시기(1816.11~1818.12)의 작품들이 전시된다. ‘추사삼형제의 서첩’, 포항 내연산 바위에 새긴 ‘순사 김노경’ 탁본, ‘부인 예안이씨에게 쓴 한글편지’, 안동에 있던 상촌 김자수 비각에 쓴 ‘상촌선생비각기사’ 등을 살필 수 있다.
제2부 ‘영남과 추사 김정희’에서는 영남지역의 가문과 불교와의 교류를 조명한다. 1839년 화재로 김정희가 다시 쓴 ‘옥산서원 현판’ 원본을 비해 ‘단연죽로시옥’, 은해사 ‘대웅전’ 현판, ‘불광(佛光)’현판 탁본 등 추사의 큰 글씨를 만날 수 있다. 쌍계사, 통도사의 현판 탁본, 북청유배시절의 ‘화피옥시고’, 대구 화원읍 남평문씨 세거지의 ‘쾌활(快活)’ 현판도 전시된다.
제3부 ‘근대 추사 서화의 계승’에서는 19세기 말부터 활동한 석재 서병오(徐丙五, 1862~1935)의 작품을 살핀다. ‘대호쾌활(大好快活)’과 ‘산호보수’는 석재가 얼마나 추사를 염두에 두고 작품에 임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석재의 ‘묵죽도’와 ‘묵란도’, ‘합죽선’ 등 작품에서 대구를 중심으로 한 서병오의 교남시서화연구회 활동도 확인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