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전자칠판 무기명 전수조사해야”…교육위, 긴급 현안 질의

인천시의회 교육위원회는 2일 인천시의회 제297회 임시회 열린 ‘전자칠판 등 물품 선정·보급에 대한 전반적인 현안’에 관해 긴급 현안질의를 했다. 사진은 이용창 교육위원회 위원장. 인천시의회제공
인천시의회 교육위원회는 2일 인천시의회 제297회 임시회 열린 ‘전자칠판 등 물품 선정·보급에 대한 전반적인 현안’에 관해 긴급 현안질의를 했다. 사진은 이용창 교육위원회 위원장. 인천시의회제공

 

인천시교육청의 전자칠판 보급사업 부실 논란(경기일보 8월20일자 3면)과 관련, 인천시의회가 시교육청의 관리 감독 부재를 질타하며 무기명 전수조사 등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2일 인천시의회 제297회 임시회에서 교육위원회는 1차 회의를 열고 시교육청을 대상으로 ‘전자칠판 등 물품 선정·보급’에 대한 긴급 현안 질의를 했다.

 

이날 교육위 의원들은 시교육청의 전자칠판 선정 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후속 대책 부실 등에 대해 질타했다.

 

정종혁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1)은 “전자칠판의 모델과 가격 등 모두 같은데, 1년 사이에 특정 기업들의 점유율이 10~30%까지 널뛰기했다”며 “물품선정위원회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현재 인천의 일선 학교들은 전자칠판을 도입할 때 수의계약을 하거나, 물품선정위원회를 통해 납품 업체를 선정하는 등 제각각이다. 시교육청이 학교에 제공하는 가이드라인만 있을 뿐, 관련 조례나 규정 등 강제 사항은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 시의원은 “경기도 등 일부 지자체처럼 학교 홈페이지에 물품선정위원회의 회의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조현영 인천시의원(국민의힘·연수4)은 “시교육청의 전자칠판 사업은 지난 2023년 추경(추가경정예산) 심의 당시 예산 견적서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이런 부분들로 시작해 부실 논란까지 확산했는데, 그동안 시교육청의 대책도 부실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용창 교육위원장(국민의힘·서구2)은 “시교육청이 당장 모든 학교를 상대로 무기명 전수조사를 벌이는 한편, 같은 문제가 반복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유석형 시교육청 정책기획조정관은 “시의회의 지적 사항을 바탕으로 전수조사 및 대책 마련 등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답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