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해외 탈북민 강제 북송 안 되게 모든 외교노력 다할 것"

첫 '탈북민의 날' 참석…"탈북민 초기 정착금 대폭 개선"
"탈북민 고용 시 인센티브, 공공분야 탈북민 채용 확대"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14일 "북한을 탈출해 해외에 있는 동포들이 강제로 북송되지 않도록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통해 "북한 정권에 의해 고통받는 북한 동포를 결코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북한 이탈주민은 자유를 향한 숭고한 여정을 통해, 우리가 누리는 자유가 인간의 운명을 얼마나 바꿀 수 있는지를 깨닫게 해줬다"면서 "북한을 탈출한 모든 동포가 대한민국의 품에 안길 수 있도록 최대한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탈북민의 성공적인 국내 정착을 위해 2005년 수준인 초기 정착금을 대폭 개선하고 '미래행복통장'을 통한 자산 형성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또따른 지원 방안으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공공분야의 탈북민 채용 확대 ▲탈북민 고용 기업에 대한 세액 공제 등 인센티브 제공 ▲먼저 온 탈북민이 나중에 온 탈북민을 보살필 수 있는 북한이탈주민 자립공동체 형성 지원 등을 약속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김성민 자유북한방송대표, 임현수 글로벌연합 선교훈련원 이사장, 마순희 학마을 자조모임 대표, 위드봉사단에 훈·포장 및 표창을 수여했다.

 

한편 '북한이탈주민의 날'은 지난 1월 열린 국무회에서 윤 대통령의 지시로 본격화됐다. 이후 탈북민 의견 수렴을 거쳐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일인 1997년 7월 14일을 기념, 7월 14일을 '북한이탈주민의 날'로 정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