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 ‘시흥~수원 고속화道’ 공식 반대

90% 이상 지하터널 등으로 관통... 市 “개통돼도 시민들 이용 어려워”

군포시청 전경. 군포시 제공
군포시청 전경. 군포시 제공

 

군포시가 ‘시흥~수원 고속화도로 민간투자사업’ 건설에 대해 반대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 사업은 시흥 금이동 도리분기점에서 의왕 고천동 왕곡나들목을 잇는 총 길이 15.2㎞의 왕복 4차로 도로건설 프로젝트로 2020년 9월 금호건설 컨소시엄이 경기도에 사업을 제안했다.

 

군포 통과 구간은 수리산도립공원, 납덕천골, 당동2지구 등 약 5.4㎞로 이 중 90% 이상이 대심도 지하터널, 교량 시설물 등으로 관통하며 다른 도로와 지상에서 연결되거나 나들목 계획 등이 없어 사실상 군포에선 직접 이용이 불가능하다.

 

앞서 시는 2020년 11월 이미 경기도에 이 사업의 노선 변경 없이는 수용 불가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금호건설 등은 지난해 9월 KDI 민간투자사업 적격성 조사 통과 후 지난 4월 전략환경영향평가 평가준비서를 제출한 상태다. 현재 경기도는 전략환경영향평가와 함께 민간투자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3자 공고, 실시협약 체결 및 실시계획 승인 절차 등을 거쳐 2027년 착공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시는 제1수도권순환도로, 영동·서해안·수원~광명 고속도로와 국도 47호선 등이 도심지를 관통하고 수도권 전철1·4호선이 통과하면서 토지 이용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여기에 군포복합화물터미널 확장, 부곡·당동2·송정·대야미지구 등 택지 개발과 서울·안양·안산·화성·시흥 간 통과 차량 급증으로 국도 47호선 우회도로 등 간선도로망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하은호 시장은 “시흥~수원 고속화도로는 계획대로 라면 2027년 착공 후 5년간 공사가 이뤄지고 이 기간 터널 및 교량 공사에 의한 소음과 분진 등을 견뎌야 하며 고속도로가 개통되더라도 군포시민의 직접 이용은 어렵고 타 지역 교통 편의를 위해 군포시민이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군포시민사회단체협의회도 성명을 통해 수리산도립공원 관통, 군포지역을 지하터널로 통과 등을 이유로 계획 철회를 주장(경기일보 25일자 인터넷)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