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증가율이 못 따라잡는 먹거리 물가...7분기 연속 웃돌아

2022년 3분기부터 먹거리 물가 상승이 가처분소득보다 높아 
1분기 가처분소득 1.4% 증가, 외식 3.8%·가공식품 2.2% ↑
2분기에도 외식, 가공식품 가격 잇따라 인상에 가계 부담 ↑

image
경기일보 DB

 

올해 1분기에도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김밥, 치킨, 햄버거, 피자, 과자 등 주요 외식 및 가공식품 가격도 오르고 있어 서민들의 먹거리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월평균 404만6천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늘어난 수준이다. 가처분소득은 이자와 세금 등을 내고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이에 비해 외식과 가공식품 등의 먹거리 물가 상승률은 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1분기 외식 물가 상승률은 3.8%로 가처분소득 증가율(1.4%)의 2.8배이다. 가공식품은 2.2%로 1.6배다.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이 소득 증가 폭보다 크다는 뜻이다.

 

이런 현상은 2022년 3분기부터 7개 분기 연속 계속되고 있어 2년 넘게 외식과 장바구니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1분기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37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품목별 물가 상승률은 햄버거가 6.4%로 가장 높았다. 이어 비빔밥(6.2%), 김밥(6.0%), 냉면(5.9%), 오리고기(외식)(5.8%), 떡볶이(5.7%), 도시락(5.7%), 치킨(5.2%) 등 순이었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 절반이 넘는 44개 물가 상승률이 가처분소득 증가율보다 높았다.

 

설탕(20.1%)과 소금(20.0%)은 20%에 이르고 스프(11.7%),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으로 집계됐다. 유산균(-7.9%), 김치(-5.2%), 라면(-4.3%) 등 가격은 내렸다.

 

이와 함께 1분기에는 외식, 가공식품에 비해 사과와 배 등 농산물 부담이 더 컸다.

 

1분기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0.4%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7.5배였고 이중 과실 물가 상승률은 36.4%로 26.3배에 달했다.

 

특히 사과의 경우, 물가 상승률이 71.9%로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52.0배였다. 배는 63.1%로 45.7배였다.

 

1분기 사과의 물가 상승률은 197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분기 기준 가장 높았다. 배의 경우, 1991년 3분기(74.5%) 이후 최고로 높았다.

 

이런 가운데 2분기 들어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잇따라 인상되고 있어 먹거리 부담이 좀처럼 줄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은 지난달 메뉴 가격을 100∼500원 정도 인상했고 파파이스코리아는 치킨과 샌드위치, 사이드 메뉴, 디저트,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 올렸다.

 

또 조미김 전문업체 광천김과 성경식품, 대천김이 지난달부터 김 가격을 올렸고 CJ제일제당은 이달 초 김 가격을 11∼30% 인상했다.

 

동원F&B도 내달부터 김 가격을 평균 15% 인상하며 롯데웰푸드는 내달 1일부터 가나 초콜릿과 빼빼로 등 17종 제품 가격을 인상할 예정이다.

 

대표 외식 메뉴인 햄버거, 피자, 치킨 등 가격도 일제히 오르거나 인상될 예정이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가 지난달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천900원씩 인상한 데 이어 맥도날드는 이달 2일부터 16개 메뉴 가격을 평균 2.8% 올렸다.

 

피자헛도 갈릭버터쉬림프,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BBQ는 오는 31일 치킨 메뉴 23개 가격을 평균 6.3% 올린다.

 

한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소비자 단체들은 식품기업들에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제품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