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투자 경쟁력 확보 선행돼야” 국유지 활용 통한 개발방식 검토하고 기업 재정 혜택 등 지원 뒷받침 필요
경기도가 남부·북부 균형발전과 중소기업 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건립이 지연되자 전문가들은 교통 인프라·물류 수요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도내 물류센터가 남부권에 몰리는 것은 충분한 교통·기업 등의 수요가 뒤따르는 만큼, 북부권에 이 같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세혁 평택대 국제무역행정학 교수는 17일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중소기업 물류비 절감으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공동물류센터 조성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충분한 교통 인프라와 물류 수요 확보가 우선”이라며 “하지만 이런 기반시설 등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동물류센터를 조성하겠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물류센터는 기업 수요에 따라 움직이는데 경기 북부권은 불편한 교통 접근성과 생산·수요자가 많은 남부에 비해 열악한 만큼, 투자 경쟁력 확보가 우선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물류센터 부지 확보가 어려울 경우, 도유지 등 국유지 활용을 통한 입지 제안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실제 경기연구원은 지난 2022년 발간한 ‘경기도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조성 방안 연구’를 통해 “북부권은 기업 등 물류센터와 직접된 수요가 많지 않은 만큼 교통 인프라 확충과 충분한 물류수요 확보를 위한 경제·산업 활성화 추진이 우선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경기연구원은 도내 유휴부지나 기존 산업단지 및 물류단지 등 미활용 용지를 발굴, 활용하는 개발 방식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진 교수는 “물류센터는 수요에 따라 움직인다는 인식이 강한 만큼, 기업에게 교통·기업 활동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는 당근을 제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행정 기관이 기업 투자 리스크를 줄여주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경기 북부는 남부권에 비해 교통편이 불편한 만큼, 이를 극복할 재정 혜택 등을 기업에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 교수는 “물류센터 조성은 기업 의사에 따라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이익이 따르는 지역에 수요가 몰리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북부권이 남부권에 비해 여러 기반 시설 등이 부족해 수요가 따르지 않는다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재정 등 행정적 지원이 우선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