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30일부터 22대 국회 임기가 시작된다. 국회법은 이로부터 7일 안에 첫 임시회 본회의를 열도록 하고 있다. 이제부터 상임위 배정 등 원 구성이 본격화한다. 이런 가운데 인천지역 당선인 절반 가까이가 같은 상임위원회를 희망한다고 한다. 국토교통위원회다. 도시철도, GTX 등 표 나는 공약들을 다루는 상임위이긴 하다. 그렇다고 많지도 않은 인천 국회의원들이 한곳에 몰리는 것은 생각해 볼 일이다.
이번 총선 당선자는 21대보다 1석 늘어나 14석이다. 지역 정가에서 나오는 얘기로는 인천 당선인 중 6명이 국토교통위 배정을 희망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중구·강화·옹진군)을 비롯, 더불어민주당 허종식(동·미추홀구갑)·정일영(연수구을)·맹성규(남동구갑)·유동수(계양구갑)·김교흥 의원(서구갑) 등이다.
국토위를 희망하는 나름대로 명분은 있다. 지난 총선을 달궜던 굵직한 지역 현안 사업들이 대개 국토위 소관이다. 제2경인선 사업 본격화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E 노선 구체화 등이다. 경인국철(경인선) 및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사업 등도 있다.
지난 총선 결과 인천에서는 3선 이상 중진급 의원이 다수 나왔다. 5선의 윤상현 의원을 비롯해 3선의 맹성규 의원, 김교흥 의원, 유동수 의원 등이다. 이들 다선 의원은 국회 상임위원장 자리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한다. 윤 의원은 국방위원장을, 맹 의원과 김 의원은 국토교통위원장을, 유 의원은 정보위원장 등을 겨냥한다.
그러나 이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지난 총선을 통해 3선에 오른 이만 84명이나 된다. 전체 국회의원 300명 중 28%를 차지한다. 상임위원장 자리는 17개 뿐이다. 이들 다선 의원의 주요 당직 도전도 거론된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의 차기 당 대표, 민주당 박찬대 의원의 원내대표 도전 등이다. 여의도에서 인천의 목소리가 기대되는 22대 국회다.
인천 의원들의 상임위 배정 문제도 시민을 바라봐야 한다. 인천이 직면하고 있는 현안은 각 분야에 고루 걸쳐 있다. 교통망 확충은 그 일부다. 최대 현안인 수도권매립지 문제만 해도 그렇다. 이를 다룰 환경노동위원회는 상대적으로 선호도가 떨어지는 상임위다. 인천 의원들이 모두 환노위를 기피한다면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인천시민들이 저 먼 지방 출신의 환노위 의원들을 찾아 하소연할 것인가. 국회 상임위는 모두 17개다. 운영위나 정무위, 외교통일위는 몰라도 모두 인천 현안과 관련이 있다. 구미에 맞고 생색 나는 상임위만 고집할 일이 아니다. 인천시민들 아쉬운 곳이 다양한 만큼, 인천 국회의원들도 고루 자리 잡고 있어야 맞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