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과 비교해도…우리나라 올해 과일·채솟값 '1위'

작황 부진·에너지가격 연동·유통구조 문제 등 복합적 영향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올해 우리나라 과일·채소 가격 상승률이 주요 선진국이나 경제규모가 비슷한 나라 등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와 함께 휘발유, 전기·가스 등 에너지류 물가 상승률도 세계 2위 수준을 기록해 전문가들 사이에선 ‘물가 잡기 어려운 나라’로 꼽히고 있다.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증권은 최근 G7(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과 전체 유로 지역, 대만과 한국의 올해 1~3월 월평균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영국이 3.5%로 1위였으며, 미국(3.3%), 한국·독일(각 3.0%), 캐나다(2.9%), 미국·프랑스(각 2.8%) 등이 순서대로 뒤따랐다. 일본은 2.6%, 대만이 2.3% 수준이었다.

 

가격 오름세가 눈에 띄는 건 역시 과일과 채소류였다.

 

우리나라 과일류의 상승률은 1~3월 월평균 36.9%로, 2위 대만(14.7%)의 약 2.5배에 이르렀다. 이탈리아(11.0%), 일본(9.6%), 독일(7.4%) 등에서도 같은 기간 과일 가격이 많이 뛰었지만 10% 안팎 수준이었다.

 

마찬가지로 채소류 상승률도 한국(10.7%)이 이탈리아(9.3%) 영국(7.3%) 등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신선 과일·채소류가 단일 품목으로 발표된 미국의 상승률은 올해 월평균 1.3%에 그쳤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는 자료사진. 경기일보DB

 

이와 함께 우리나라의 에너지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도 주요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불안한 상황이었다.

 

에너지 관련 항목(전기·가스요금, 연료비 등)을 노무라증권이 가중 평균해 산출한 에너지류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한국이 1~3월 월평균 1.1%로 프랑스(2.7%)에 이어 2위였다.

 

특히 2월 국제 유가 상승분이 본격적으로 휘발유·경유 등에 반영되기 시작한 3월(2.9%) 상승률은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기본적으로 국제 정세 불안 등에 따른 유가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여기에 작년 5월 전기 요금 인상의 여파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물가 흐름을 봤을 때, 향후 중동사태나 이상기후 등이 길어질수록 우리나라가 그 어느 나라보다 물가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과일·채소 물가 급등은 이상 기후에 따른 작황 부진뿐 아니라 하우스 등 시설재배 비중이 커지면서 에너지 가격과 농산물 가격이 연동되는 경향, 유통 구조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에너지류 물가 상승률 관련해선) 석유 등의 에너지 해외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큰 데다 석유 수입선도 중동 지역에 편중된 결과"라고 전했다.

 

그는 "밀가루 등 곡물의 수입 의존도 역시 높기 때문에, 앞으로 중동 사태가 장기화하고 이상기후가 더 잦아질수록 우리나라 물가는 식품·에너지를 중심으로 관리하기 점차 더 어려워지는 취약한 구조"라고 내다봤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