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먹거리 물가, 2년 만에 다시 OECD 평균 추월

경기일보DB
경기일보DB

 

국내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2년여 만에 선진국 평균 수준을 추월했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자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을 웃돌았다. 튀르키예(71.12%), 아이슬란드(7.52%)에 이은 세 번째다.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가 OECD 평균을 넘어선 것은 러·우전쟁 직전인 2021년 11월 이후 2년3개월 만이다.

 

앞서 전 세계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2022년 2월 전후로 급상승하기 시작했다. 밀과 천연가스의 최대 수출국인 러·우 마찰로 먹거리 인플레이션이 불고, 에너지 가격이 고공행진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2022년 11월 OECD 회원국의 평균 식품 물가 상승률은 16.19%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이 같은 OECD 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9.52%)부터 차차 떨어졌고, 올해 2월엔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수준인 5%대로 떨어지는 등 빠르게 정상화 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7월 3.81%로 바닥을 찍은 뒤 지난해 10월 이후 다시 5∼7%대로 올라섰고 지난 2월에는 OECD를 추월했다.

 

주 요인은 사과·배 등 과일 가격이 대폭 오른 데 있다. 지난달 사과 물가는 88.2% 올라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문제는 식품 물가 외에도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는 요인이 남아있다는 점이다.

 

최근 이스라엘·이란 충돌 이후 불안한 국제유가도 소비자 물가를 압박하고 있고, 강달러 기조에 따른 고환율은 수입 원재료 가격을 끌어올려 버거·초콜릿·과자 등 가공식품 물가를 더 밀어 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최근의 고유가·강달러 현상은 충분히 예상하지 못했던 변수들"이라며 "국제유가 불안, 고환율이 장기화하면 2022년에 이은 2차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