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류로 내면을 살피다…서호미술관, 최목운 작가 ‘의식의 무의식’展

최목운 作, ‘의식의 무의식’, 2024 가변설치, 아크릴, 물, 수중모터.
최목운 作, ‘의식의 무의식’, 2024 가변설치, 아크릴, 물, 수중모터.

 

미술은 작가의 사회적, 개인적 현실에 대한 형상적 결과물이다. 미적 형식의 창조를 통한 내적 진실과 세상을 연결하는 뚜렷한 소통의 작업이기도 하다.

 

남양주 서호미술관이 오는 14일까지 선보이는 최목운 작가의 ‘UNCONSCIOUSNESS OF CONSCIOUSNESS’전시에선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의 내면에 시시때때로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과 마음에 관한 이야기를 느낄 수 있다.

 

최목운 작가는 물을 이용해 내면 깊은 곳을 물끄러미 들여다보는 작업을 주로 한다. 물 표면의 파문을 형성해 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하고, 물을 담은 원반을 움직여 마음 한곳을 집중할 수 있는 키네틱 작업으로 작품을 표현한다.

 

최목운 作, ‘의식의 무의식 #2’, 2024 1000x1000x1500(H)mm, 아크릴박스, 스테인리스 스틸.
최목운 作, ‘의식의 무의식 #2’, 2024 1000x1000x1500(H)mm, 아크릴박스, 스테인리스 스틸.

 

이번 전시에서 최목운 작가는 물이라는 자연물을 이기려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물과 마음을 연결 지어 물이 담기고 변화되는 현상에 집중했다.

 

작가의 작품을 자세히 보면 마치 멈춰있는 것 같은 현상을 목격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작가는 ‘층류’라고 칭하며, 흐르고 있지만 멈춰있는 것은 더 나아가 ‘무위’의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도 전한다. 무위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모든 일을 이룬다는 역설적 의미다.

 

최목운 作, ‘ 물끄러미’, 2023 1500(R)x200(H)mm, 스테인리스 스틸, 혼합매체, 물.
최목운 作, ‘ 물끄러미’, 2023 1500(R)x200(H)mm, 스테인리스 스틸, 혼합매체, 물.

 

작품 ‘의식의 무의식’은 투명한 벽 형태의 오브제 안에 물이 작은 틈을 통해 마치 비처럼 벽을 타고 내려오는 물줄기가 어디로 뻗어 나갈지 모르는 현상을 드러냈다. 층류로 시작해 난류로 변화하는 현상을 유체역학과 같은 양상으로 표현했다.

 

미술관 관계자는 “작가는 이를 통해 층류 현상일 때의 모습을 의식의 영역, 예측 불가능한 난류 현상을 무의식의 영역으로 간주해 우리들에게 찾아오는 마음의 형태는 밖이 아닌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 이야기한다”며 “동시에 의식과 무의식을 작은 모터와 물로 엮어내어 작품으로 가시화하려는 시도를 했다”고 설명했다.

 

최목운 作, ‘생주이멸 生住異滅’, 2023 1000x1000mm, 스테인리스 스틸, 혼합매체.
최목운 作, ‘생주이멸 生住異滅’, 2023 1000x1000mm, 스테인리스 스틸, 혼합매체.

 

18점의 작품이 전시된 공간에서 작가는 물과 모터를 이용해 내면에 흐르는 다양한 마음의 형태를 투명한 벽을 통해 가시화 했다.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대상을 지그시 바라볼 때, 또 잠시 멈춰서서 요동치는 자신의 내면을 객관화 해 볼 필요성이 있다는 메시지가 전해진다. 내면의 회복과 평화를 기대함과 동시에 잠시 멈춰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작품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북한강과 바로 맞닿은 안뜰을 가진 서호미술관은 자연에 관한 탐구와 실험을 통해 미술의 영역을 확장하고, 생태와 환경에 관심을 환기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서 시도를 해오고 있다. ‘UNCONSCIOUSNESS OF CONSCIOUSNESS’는 서호미술관의 ‘2024년 시도지원 사업 기획 초대전’으로 ‘형형색색’이라는 주제 아래 참여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경험하고, 작가 작업의 고유한 형색을 자유롭게 느낄 수 있도록 기획한 첫 번째 전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