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전쟁을 ‘대동아전쟁’으로? 日 자위대 침략전쟁 미화 논란

SNS 게시물에 ‘대동아전쟁’ 용어 사용
논란 일자 “코멘트 할 수 없다” 언급 회피

육상자위대 제32보통과 연대 엑스 캡처.
육상자위대 제32보통과 연대 엑스 캡처.

 

일본 육상 자위대 부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침략 전쟁인 ‘태평양 전쟁’을 미화하는 ‘대동아전쟁(大東亞戰爭)’을 사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육상자위대 제32보통과 연대는 지난 5일 엑스(X·옛 트위터)에 “32연대 대원이 대동아전쟁 최대 격전지 이오지마에서 개최된 일미 이오지마 전몰자 합동 위령추도식에 참가했다. 조국을 위해 존귀한 생명을 바친 일미 양국 영령의 명복을 빈다”는 글을 게시했다.

 

이오지마는 일본과 괌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대중들에게는 1945년 미군이 일본군과 격전 끝에 섬을 점령하고 성조기를 세우는 모습이 찍힌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동아전쟁은 일본을 중심으로 서양 세력에 맞서야 한다는 ‘대동아공영권’을 뒷받침하는 용어로 당시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태평양 전쟁의 목적을 미화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에 일제 패망 이후 들어선 미 군정은 해당 용어 사용을 금지하기도 했다.

 

현재까지도 일본 정부는 공문서에 이 용어를 쓰지 않아 사실상 금기어로 자리잡았으며 대부분의 정치인, 언론, 교과서는 대동아전쟁 대신 태평양전쟁이나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제32보통과 연대는 SNS에 ‘대동아전쟁’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과 관련해 논란이 확산되자 7일 “코멘트할 수 없다”며 언급을 피했다고 아사히 신문은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