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선진 자원순환센터(소각장) 벤치마킹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민 반대에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국면을 타개해 보려는 시도다. 지난 2월 초에는 시민들과 함께 경기 하남시의 유니온파크를 다녀왔다. 2월 말에는 해외 소각장 견학도 다녀왔다. 덴마크 코펜하겐과 프랑스 파리 근교 소각장 등이다. 오는 24일에는 군수·구청장들도 초청, 유럽 선진 소각장 견학에 나선다. 그런데 고작 4명의 군수·구청장만 참여한다고 한다.
이번 유럽 소각장 견학은 오는 24일 출발, 30일 돌아온다. 모두 4곳 소각장을 둘러본다. 프랑스 파리 근교 이세안 소각장을 비롯해 덴마크 코펜하겐 아마게르바케 및 로스킬레 소각장,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MHKW 소각장 등이다. 인천시는 지난달 군·구에 ‘해외 환경기초시설 벤치마킹 출장계획’을 보냈다. 군수·구청장의 참여를 요청하기 위해서다. 인천시에서는 환경국장과 자원순환과장 등이 참여한다. 지역특화 자원순환센터가 지역발전을 견인한 사례를 살펴보는 게 목적이다.
그러나 10개 군·구 중 4곳 단체장만 참여한다. 문경복 옹진군수와 이영훈 미추홀구청장, 이재호 연수구청장, 강범석 서구청장이다. 중·동·남동·부평·계양구와 강화군 단체장들은 불참한다. 정작 소각장 건립이 더 시급한 지역의 단체장들이 빠지는 모양새가 됐다.
현재 부평·계양구는 당초 경기 부천시와 광역소각장을 같이 쓰는 방안을 찾으려 했다. 그러나 부천시의 반대로 무산하면서 소각장 건립이 원점으로 돌아와 있다. 중구와 동구도 어렵게 찾은 소각장 후보지가 주민 반발에 부딪혀 입지 선정 작업이 멈춰 있다. 2026년 수도권매립지의 직매립이 금지되면 이들 지역에서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할 수도 있다. 인천 단체장들이 시급한 현안을 애써 외면하려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소각장은 시민들의 일상을 뒤흔들 수도 있는 생활 현안이다. 그래서 사실상 소각장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올 초 인천시가 지금까지의 소각장 확충 정책을 폐기했다. 폐기물관리법상의 책임자인 군수·구청장이 주도하도록 했다. 그러자 일부 구에서는 “인천시가 기초지자체들을 전쟁으로 내몬다”며 반발했다. 그러나 군·구는 엄연히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에 있어 1차적 책임이 있다.
선진 소각장 견학은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가장 큰 것이 시민들이 소각장을 어떻게 보느냐의 문제다. 외국에서도 처음부터 두 손 벌려 소각장을 환영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역주민 반발이 큰 소각장 건립에는 단체장의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 다음 기회에라도 군수·구청장 모두 선진 소각장 견학에 나설 것을 주문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