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현정, 먹거리 물가 안정 위한 온라인도매시장법 제정 공약 [열전 25시]

25일 민주당 김현정 평택병 후보가 대파를 들고 물가 폭등 상황에 대한 정부 대응을 비판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25일 민주당 김현정 평택병 후보가 대파를 들고 물가 폭등 상황에 대한 정부 대응을 비판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평택병 국회의원 후보가 물가 안정을 위해 온라인 도매시장법을 제정하고 경기도에 농산물센터를 설립해 물류를 분산시키겠다고 공약했다.

 

김 후보는 25일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통단계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온라인 도매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법을 만들고 경기 남부의 교통 요지인 평택에 농산물유통센터를 건립해 수도권 물가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11.4%를 기록했다.

 

품목별 상승률은 토마토 56%, 파 50%, 쌀 9.2% 등으로 나타났다.

 

사과 71%, 귤 78.1%, 배 61.1%, 딸기 23.3% 등 과일값이 폭등하면서 신선과실 항목은 지난해보다 41.2% 올랐다.

 

이를 두고 김 후보는 “코로나 이후 해마다 오름세를 지속한 신선식품지수는 올 2월들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급등했다”며 “평택시로컬푸드매장 배다리점에 들러서 장을 봤다. 농가들이 직거래하는 매장임에도 대파 한 단에 2천원이었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구입했다는 875원짜리 대파는 어디에도 없었다”고 꼬집었다.

 

이어 “코로나 이후 주요 농산물 값은 가파르게 상승했지만 가구당 농업소득은 2020년 1천182만원에서 2022년 949만원으로 줄었고, 같은 해 농업경영비는 2천512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며 “반면 농가 수익성은 2022년과 2023년 연속 2020년보다 10%정도 줄어 생산자들은 농산물을 생산할수록 손실이 더 불어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농산물 가격을 안정화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안으로 온라인 경매 활성화 등을 담은 ‘온라인 도매시장법’ 제정을 공약으로 내놨다.

 

온라인 경매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평택에 대규모 농산물유통센터 건립도 내세웠다.

 

그는 “온라인 경매로 경매수수료·하역비·중도매인 마진을 없애면 농가, 산지 유통인, 도매시장, 소매업체, 소비자로 이어지던 유통단계를 판매자, 구매자, 소비자로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농산물유통센터를 평택에 건립해 지역 농가 소득 증대는 물론 수도권 농산물 가격 안정을 도모하겠다”며 “아파트단지가 밀집한 평택 신도시 곳곳에 대형 로컬푸드 직매장을 1년에 1개꼴로 설치해 질좋고 신선한 지역 농산물을 공급하겠다”고 부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관세 면제나 가격 보조 정도로 위기에 처한 민생 경제를 살리기 어렵다”며 “실질적 물가 안정 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민생경제회복지원금 13조원을 긴급 편성해 1인당 25만원, 4인 가족 기준으로 100만원에 달하는 지역화폐를 지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직매장 건립이 전통시장·소규모 점포와의 형평성 문제가 있지 않냐는 경기일보 취재진의 질문엔 “도농복합도시인 평택의 특성을 고려하면 직매장을 설치할 필요는 분명히 있고 직거래를 하기 때문에 가격도 분명히 싸다”며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전통시장이나 소규모 점포를 잡아먹을 정도는 아니라고 보며 오히려 장점이 더 많다고 본다”고 답변했다.

 

또 지역화폐 발행 예산 확보 방안을 묻는 질문엔 “예산 확보 방안은 윤 대통령이 전국 돌면서 민생토론회로 수백조원에 달하는 포퓰리즘적 민생대책에 비하면 새발의 피라고 본다”며 “정부의 뜬구름 잡기식 정책보다 구체적이고, 여야가 합의만 되고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