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가 자체 설정한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목표치를 6년 연속 초과 달성하는 등 음식물 쓰레기 감럄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시에 따르면 시는 5년 단위로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계획’을 수립해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를 해오고 있다. 음식물류폐기물 발생 감량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파주시 실정에 적합한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 결과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목표치 대비 평균 37.8% 감량했고, 단위 계획이 새로 수립된 지난해부터는 평균 7.6%를 감량된 것으로 집계됐다. 시가 설정한 목표치를 6년 연속 초과 달성한 수치다.
이와 함께 지속적인 인구 유입이 이뤄지고 있는데도 지난 2021년부터 가정 1인당 음식물쓰레기 발생은 매년 2.3%씩 지속적으로 감량되고 있다.
이는 이 기간 동안 시 총 음식물발생량과 가정 1인당 발생량 그리고 다량배출사업장에서 발생된 음식물배출량 등 3종류의 배출량을 각각 평균한 수치다.
시는 그동안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지난 2013년 음식물 쓰레기 무게를 측정해 배출량에 따라 수수료를 부담하는 ‘전파 식별(RFID) 종량기’를 도입했다.
이어 같은해 조례 개정을 통해 60가구 이상 신축 공동주택 시공 시 종량기 설치를 의무화했다.
시는 음식물쓰레기 발생억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련 시설도 교체에 나섰다.
오는 25일까지 노후된 전파 식별(RFID) 기반 음식물쓰레기 종량기 100대를 전액 시비로 교체해 시민 주도로 음식물쓰레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선다.
김경일 시장은 “음식물폐기물 발생억제 제도는 타 지자체에서 음식물 종량제 모범사례로 언급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억제 성과평가를 실시해 미비점을 파악하고,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