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교육 공약 경쟁’…40·50 노린 고교 공약 다듬기 [총선 관전포인트]

여야, 후보 ‘공천 작업’이 마무리되자
교육특구 지정·특목고 설립 등 내세워
도내 전체 인구 30% 넘는 4050세대
교육현안 민감한 만큼 교육여건 강조
전문가 “공약 이행 여부 검증이 우선”

기사 내용과 상관없음. 이미지투데이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4·10 총선에 나설 경기도내 여야 후보 공천 작업이 마무리되자 교육특구 지정, 특목고 설립 등 교육 관련 공약이 쏟아지고 있다.

 

중고생 자녀를 두고 도내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40·50세대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되는데, 일각에선 공약 이행 여부 검증이 우선이라고 지적한다.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평택을·병, 김포을 여야 주자들은 교육국제화특구 지정 추진과 고교 설립을 약속하고 있다. 교육국제화특구는 교육특구법에 따라 국제화된 인력을 전문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외국어·국제화 교육 활성화를 위해 조성된 지역이다. 교육국제화특구로 지정된다면 외국어 전용 마을이나 학교 외국어 교육 지원이 강화된다.

 

또 하남갑, 광주갑 후보들도 교육발전특구 공약을 내놓고 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이 대학, 기업 등 지역기관과 손을 잡고 공교육 질을 높여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정주기반을 만드는 내용이다. 도내에서 교육발전특구로 지정할 수 있는 곳은 접경지역으로 제한돼 있지만, 균형발전 목적으로 특구가 지정되는 만큼 이를 경기 남부권에도 유치하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특목고 설립 공약도 내놓는다. 동탄이 위치한 화성을·정 여야 후보들과 용인갑 후보들은 과학고 설립 등을 내세우고 있다. 또 분당을에 나선 국민의힘 김은혜 전 홍보수석도 기업형 특목고·자사고 설립 공약을 내놨다.

 

지난달 기준 도내 10대 인구는 132만140명에 달하는데, 도내 과학고는 기존 경기과학고가 영재학교로 전환돼 1개의 과학고(경기북과학고)만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도내 후보들이 도내 전체 인구 30%가 넘는 40·50세대의 표심을 붙잡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기준 도내 40·50대 인구는 459만2천536명으로, 전체 도민(1천363만5천250명)의 33.7%에 달한다. 이들 세대는 교육 현안에 민감한 만큼, 지역 교육 여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공약 실현 가능 여부를 우선 검증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최근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21대 국회 지역별 공약이행도 평가를 발표한 결과, 도내 지역구 의원들은 51.95%의 공약이행을 보였다. 전국 17개 시·도 중 9번째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표심을 얻기 위한 공약이 아닌 실현 가능한 공약이 더욱 활성화돼야 한다”며 “거대 양당이 비슷한 내용의 공약을 내놓는다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공약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