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차종 23만2천대에서 결함 발견 4개 업체 자발적 시정조치 나서
역대 전기차 리콜 사례 중 가장 큰 규모인 17만대 가량의 전기차가 자발적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1일 4개 업체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12개 차종, 23만2천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리콜을 결정했다.
이중 전기차는 현대자동차㈜ 11만3천916대, 기아㈜ 5만6천16대 등 총 16만9천932대다. 해당 차량들은 통합충전제어장치(ICCU) 소프트웨어 오류로 저전압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없어 주행 중 차량이 멈출 위험성이 있다.
현대자동차㈜는 오는 18일부터 해당 결함이 있는 ▲아이오닉5 6만6천322대 ▲아이오닉6 2만85대 ▲제네시스GV60 1만86대 ▲제네시스GV70 EV 5천164대 ▲제네시스GV80 EV 5천101대 등 11만3천916대를 회수한다.
전조등 내구성 부족으로 맞은편 주행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아반떼 6만1천131대는 19일부터 리콜된다.
기아㈜도 통합충전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가 발견된 EV6 5만6천16대를 18일부터, 햇빛가리개 제조 불량이 확인된 레이 126대를 20일부터 회수한다.
이외에도 후퇴등 설치 위치 기준을 준수하지 않은 스텔란티스코리아㈜ 짚체로키 527대와 고전압배터리 제조불량인 짚랭클러PHEV 148대, 보행자 경고음이 울리지 않는 테슬라코리아(유) 모델3 111대, 모델Y 25대가 회수조치된다.
결함 시정과 관련해 각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되며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 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 및 차대번호를 입력해 확인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