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위생·안전 유의"…지난해 일부 식품서 식중독균 검출

소비자원, 지역축제 10곳 안전실태 조사 결과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지난해 지역축제 현장에서 판매된 일부 식품에서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열린 지역축제 1곳의 안전실태를 조사하고, 5일 그 결과를 밝혔다.

 

소비자원은 코로나19 여파로 한동안 줄었던 지역축제들이 다시 활발해짐에 따라 집단 식중독 및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고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전국 지역축제장 10곳에서 조리·판매한 식품 30개를 조사한 결과, 치킨과 닭강정 등 2개 식품에서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조리‧판매 종사자가 위생모, 위생장갑,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식품을 취급하거나 조리도구 및 식기, 식재료 폐기물 관리 등이 비위생적인 곳도 일부 확인됐다.

 

유동인구가 많은 야외에서 대량으로 조리한 후 매대에 진열하는 식품은 위생적으로 조리·보관하지 않으면 미생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조리부터 판매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부 축제장에서 시행하고 있는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주문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게 소비자원의 조언이다.

 

이어, 축제 장소의 절반 이상에선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안전부에서 마련한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에 따르면 LPG 충전 용기는 직사광선, 눈, 비 등에 노출을 막기 위한 차양을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조사대상 축제장 내에서 LPG 충전 용기를 취급하는 68개 업소를 조사한 결과 35개소(51.5%)가 차양 조치를 하지 않아 사고 우려가 있었다.

 

축제장 내 설치된 배·분전반 43기 중 2기(4.7%)는 문이 개방된 채 방치돼 있었고, 1기(2.3%)는 어린이들의 이동이 잦은 수영장 입구에 설치되어 있어 감전 사고 위험이 있었다.

 

아울러 지역축제는 실외행사가 대부분인 만큼 하절기에는 온열질환, 동절기에는 한랭질환에 대비할 필요가 있음에도, 조사대상(10개소) 중 4곳만이 무더위 쉼터를 갖췄다. 그 중 외기를 차단한 공간에 에어컨 등의 적정 냉방시설을 갖춘 쉼터는 1개소에 불과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 준수 여부 등 관리·감독 강화 ▲지역축제 참여업체 대상 안전관리 교육 및 지도·감독 강화 ▲자치단체별 자치법규(식품영업 등 시설기준 특례에 관한 규칙 등)에 개선사항을 반영할 것을 건의할 예정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들 역시 축제장에서 식품을 구입할 때 위생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구입한 식품은 즉시 섭취할 것을 권한다"며 "가스·전기 등 위험시설에 임의로 접근하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지키며 축제를 즐기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소비자원의 개선권고에 따라 10개 지자체는 모두 위생관리를 강화해 추후 개최되는 축제·행사에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