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반발, 의정 갈등 최고조... 환자 피해 심각 "대안 모색 서둘러야"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전국 의사들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의대정원 증원 및 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총궐기대회’에 집결했다.
전공의들이 의료현장 이탈 등 집단행동이 벌인 지 13일째 되는 날 발생한 일로, 의료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셈이다.
이날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밝힌 참여 인원은 4만여명에 달한다(경찰 추산 1만2천명). 경기도의사회는 실질적으로 이 안에 7천명의 경기지역 의사가 참여한 것으로 추산했다.
수만명의 의사가 근무지를 벗어나면서 의료대란을 막기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응급의료포털에 따르면 ‘순천향대부속부천병원’의 경우 응급실 음압격리병상, 응급실 일반격리병상에서 여유 병상이 없었다. 내과 중환자실은 1병상, 응급실 소아병상은 4병상, 외과 중환자실은 5병상만이 이용 가능했다.
‘아주대병원’은 응급실 음압격리병상, 신경과 중환자실, 중환자실내 음압격리병상 등 5곳의 여유 병상이 없었고, ‘한림대성심병원’은 내과 중환자실 등 2곳, ‘고려대의대부속안산병원’은 중환자실내 음압격리병상 등 1곳이 추가 환자에게 내어줄 자리가 없었다.
김성주 중증질환연합회장(암환자 권익협의회장)은 “현재 전국 빅5 병원에서 수술을 해야 할 환자 중 절반 이상이 ‘지연되고 있다’는 통보를 받고 있다. 수도권 대부분 대학병원 역시 동일한 상황이라 암 환자들의 70~80%가 대기 중인 상태”라며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환자들의 책임을 정부와 의사들이 서로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의사들이 현장을 떠나면 당장 환자들의 생명과 목숨과 직결된다. 일반 근로자들이나 노동자가 파업하듯이 떠나버리면 극단적인 표현으로 ‘인질극’을 펼치고 있는 것”이라며 “대안을 서둘러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명숙 한국아동복지학회장(상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은 “의사들이 떠나면서 희귀질환 아이들, 소아암 등 중증 아동들이 특히 큰 피해를 보며 건강권을 침해받고 있다”며 “(정부와 의사들이) 합의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어른들이 우리 사회에 대한 책임감을 아이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집회 참가자들은 의대 증원 2천명 확대를 비롯해 혼합진료 금지 등 ‘필수의료 패키지’의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은 “정부는 의사가 절대로 받아들이기 힘든 정책을 ‘의료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일방적으로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지금이라도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전공의와 비대위 모두 의료 파국을 조장하거나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