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검색 결과가 믿을 만하다는 응답이 국내 이용자 10명 중 4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가 지난 14∼15일 전국 15∼5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을 진행한 결과를 담은 '2024 검색 트렌드 리포트'를 27일 공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자가 궁금한 것을 검색할 때 이용하는 플랫폼은 네이버(87.0%)가 1위였고, 이어 유튜브(79.9%), 구글(65.8%), 인스타그램(38.6%), 나무위키·위키백과(34.0%), 카카오톡(#검색·33.9%), 다음(29.1%), 챗GPT(17.8%) 순이었다.
챗GPT는 기존 포털사이트와 SNS에 밀려 8위에 머무르며 검색 서비스 시장에서 아직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인터넷 사용자의 80.8%가 챗GPT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챗GPT에 직접 질문이나 요청을 입력해 실제 사용해본 비율은 전체의 34.5%였다. 현재까지 지속해서 사용하고 있다는 비율은 전체의 18.3%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챗GPT 서비스를 인지한 사용자가 실사용 단계로 넘어가는 전환율이 42.7%로 아직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실제 이용자 수를 늘리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챗GPT가 무엇인지 알지만 사용 경험이 없는 이유, 사용해봤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써야 할 상황·일이 없어서'가 각각 65.2%, 57.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특히 챗GPT 사용자들은 서비스가 제공하는 답변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지만, 신뢰도에 대해서는 아직 개선 여지가 남아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챗GPT는 사용 경험자의 66.7%(전체의 3분의 2)가 일반 검색 서비스와 비교해 검색 결과·답변이 만족스럽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검색 결과가 믿을 만하다는 인식은 전체의 40%에 그쳤다.
챗GPT 사용 경험자 가운데 약 10.1%는 유료 사용 경험자였다. 챗GPT의 유료 구독 서비스인 '챗GPT플러스' 멤버십의 월 이용료는 20달러(약 2만7천원)다.
이들의 유료 사용 목적은 '자료 수집'이 53.9%(중복 응답 가능)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정보 요약'(48.7%), '학습 및 자기개발'(38.3%), '번역 및 외국어 첨삭'(29.3%), '콘텐츠 생성'(24.3%), '대화'(22.6%), '코딩 관련 작업'(18.6%), '계획 세우기'(10.7%), '수학적 계산'(5.5%) 등이 뒤를 이었다.
유료 사용 경험자들은 챗GPT 대한 만족도와 신뢰성 평가에서 5점 만점에 각각 4.26점, 3.74점을 기록해 평균인 3.76점, 3.33점을 웃돌았다.
보고서는 "앞으로 검색 기술은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과도한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며 "인공지능이 더 활발히 활용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반면 출처를 알기 어려운 정보가 많아져 정확한 정보를 걸러내는 기술이 필요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