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면적 줄어들고 생산가격·인건비 상승 영향”
정월 대보름을 앞두고 오곡밥과 부럼 재료 가격이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했다는 조사 결과가 21일 나왔다.
전문가격조사기관 한국물가정보는 지난 19일 하루 동안 오곡밥, 부럼에 쓰이는 주요 10개 품목의 가격을 1되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전통시장은 13만1천600원, 대형마트는 17만1천480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5%, 5.4% 올랐다고 밝혔다.
전통시장의 경우 호두는 1만4천원에서 1만2천원(-14.3%)으로 1년만에 가격이 떨어졌고, 차조, 잣, 땅콩은 지난해와 같았다.
가장 많은 가격 변동율을 보인 품목은 붉은팥으로 작년 8천원에서 올해 1만1천원으로 37.5% 올랐다. 이어 ▲밤 33.3%(6천원→8천원) ▲수수 20.0%(5천원→6천원) ▲은행 20.0%(5천원→6천원) ▲검정콩 16.7%(6천원→7천원) ▲찹쌀 13.0%(2천300원→2천600원) 순이었다.
대형마트에서는 1만4천350원에서 1만4천10원으로 떨어진 호두와 가격을 유지한 잣을 제외하고 대부분 가격이 올랐다.
밤은 7천580원에서 9천990원으로 전년 대비 31.8% 올라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고 ▲붉은팥 26.8%(1만1천920원→1찬5천120원) ▲수수 11.8%(9천370원→1만480원) ▲검정콩 11.6%(1만290원→1만1천480원) ▲찹쌀 10.7%(3천540원→3천920원) ▲은행 10.3%(7천740원→8천540원) 등이었다.
한국물가정보 관계자는 오곡밥 재료가 오름세 양상을 보인 이유에 대해 “재배면적이 줄어든 데다 지난해 길었던 장마와 태풍 등 악천후로 생산량이 감소한 것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에서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인 붉은팥은 공급량 감소로 최근 꾸준히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인기가 급상승하는 동지 이후 계속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럼에 대해선 “해마다 꾸준히 생산량이 증가한 호두 가격은 내려갔지만 기상악화로 작황이 부진했을 뿐 아니라 생산비용이 증가한 밤과 은행 가격은 올랐다”며 “품목 특성상 수작업이 많은 견과류는 인건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인건비 상승으로 작업량이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품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한국물가정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