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경기도농수산진흥원 정책연구관
요즘 농식품 관련 보도가 푸드테크에 쏠리고 있다. 증권가에서도 잇따라 투자보고서를 내놓으며 푸트테크를 주목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세계 푸드테크 시장이 700조원을 넘어섰다고 한다.
60조원에 달하는 국내 푸드테크 시장 규모 역시 매년 30%씩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2027년까지 1천억원에 이르는 푸드테크 전용 펀드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기업가치가 1조원이 넘는 유니콘 기업 30개를 육성하고 20억달러를 수출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또 대학과 연계해 관련 인력 3천명을 키우고 지역에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뒷받침하듯 국회는 지난해 12월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했다.
푸드테크란 식품과 기술의 합성어다. 먹거리의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 정보기술(IT), 생명공학(BT), 인공지능(AI), 로봇 등 첨단 기술이 결합된 미래 산업이다. 그 분야도 식품 외에 세포 배양, IT플랫폼, 로봇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푸드테크가 농식품산업의 미래이자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농업인이나 중소기업들은 푸드테크를 아직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 푸드테크 스타트업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으나 투자는 줄고 있다.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은 지난해 7월부터 6개월간 534개 식품 및 푸드테크 기업들을 상대로 한 ‘푸드테크산업 전략 수립을 위한 경기도 기초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푸드테크 기업들이 맞닥뜨린 현실과 어려움, 그리고 대책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르면 기술 부족 극복 방안으로 36.8%가 자체 연구개발을 꼽았다. 17.6%가 개인적으로 전문가와 협력한다고 말했다. 54.4%가 알아서 해결한다고 답한 것이다. 정부 연구 기관, 그리고 대학과 협력한다는 응답은 20%와 11%에 그쳤다. 61%가 연구인력 부족을 호소했다.
이뿐만 아니라 36.8%가 직접 찾아다니면서 시장을 개척한다고 말했다. 푸드테크 스타트업들이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지목한 연구개발(47%)과 시장개척(27%)을 스스로 해결하는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응답자들은 10점 만점에 7.17점을 매길 정도로 경기도 월드푸드테크센터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푸드테크 클러스터 구축 같은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국내 푸드테크산업의 주력 분야는 케어(메디)푸드, 식물기반 대체식품, 간편식 등 식품이었다.
특히 계약재배한 경기도 친환경농산물 이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 54.6%가 이용하겠다고 말했다. 40.4%는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친환경 로컬푸드를 구입하는 이유는 30.3%가 안정적인 공급, 23.4%가 학교급식처럼 가격 차액 지원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푸드테크 스타트업 지원이 친환경농업을 위한 대안으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는 것이다.
두유가 많이 팔린다고 해서 우유시장을 위축시켰다고 보기 어렵다. 우리 콩으로 만든 계란 대체 식품은 조류독감으로 인한 계란 수입을 대체하고 식품 수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푸드테크가 우리 먹거리와 함께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도농복합지역인 경기도의 지속가능성을 드높이는 대안으로 자리하기를 바란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