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지구, 영통지구, 매탄지구 등 대규모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현대적인 주거 중심의 도시 영통구에는 현재 수원특례시 전체 인구의 30%가 살고 있다. 구민의 평균 연령이 37.7세로 젊은 도시이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첨단기업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산업의 메카 도시이자 경기 남부 마이스(MICE) 산업의 중심지다.
돌이켜 보면 영통구청은 2003년 가건물로 지어져 당시 인구 24만여명의 민원을 처리했지만 20년이 지난 현재 인구는 37만여명으로 약 1.5배 늘었다. 특히 영통구에는 글로벌 대기업 삼성전자가 자리 잡고 있고 현대사회에 이르러 복합행정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행정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노후한 현 청사의 재건립이 시급하다. 물론 영통·광교권역에 비해 문화·복지공간 등 기반시설이 매우 부족한 영통구청 인근 매탄권역 주변의 시설 확충도 동반돼야 할 것이다. 그래서 그간 정치권에서 ‘영통구 복합청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건립을 촉구해 왔고 연구용역 등 수원특례시의 움직임 또한 계속돼 왔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재난지원금 등 예산 지출 및 지방소득세 급감, 대규모 투자사업으로 인한 재정 부담 등 재정위기를 겪은 탓에 복합청사 건립은 지난 2021년 ‘영통구청사 건립 타당성 및 기본계획 검토수립 용역’이 계약 해지되며 멈춰 버렸다.
이듬해에는 복합청사 건립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현 영통구청 부지의 절반을 매각하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으나 이 또한 결정된 것은 없다. 20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영통구를, 특히 매탄지구를 돌봐온 결과 영통구 복합청사 추진은 과거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다만 부지의 절반을 매각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분할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점에 부딪히며 분할로 줄어든 토지에 신청사와 주변 상가지역 주차 수요까지 소화하기엔 무리가 있다. 그럴 만한 재정 여건도 안 된다.
하지만 우리는 기술의 발달로 민원서류가 전자문서로 대체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지리적인 중요성과 전통적인 기능의 무게에서 자유로워진 것이다. 때문에 현 위치를 고수하기보다는 ‘민자 유치’가 가능한 이전 적지를 면밀히 검토해 ‘청사 이전’이라는 과감한 방안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공공시설, 행복주택,주민편의시설 등 복합 건립을 통해 건축비용을 아낀 오류1동 주민센터 사례가 있긴 하나 민간자본이 아닌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지은 데다 사업 규모 측면에서도 차이가 크다.
민자 유치를 통한 공공청사 건립은 생소하지만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민자 유치 공공청사 건립 선진 사례인 일본의 도시마(豊島)구를 방문한 바 있으며 고양특례시 신청사의 민자 유치도 언급된 바 있다.
민자 유치를 통해 이전한다면 절감된 예산으로 영통구청이 떠난 자리에 문화·복지 시설을 건립해 매탄지구 주민에게 환원할 수 있다. 영통구 복합청사 건립은 비단 더 나은 행정서비스 제공만의 문제가 아니다. 시대의 변화에 대한 반영이고 영통구청 주변 지역주민의 편익이자 복지이며 민심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