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선거제 여전히 ‘안갯속’… 정치 신인들 속탄다 [총선 관전 포인트]

image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을 하루 앞둔 11일 수원특례시 팔달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직원들이 등록 접수처를 설치하고 있다. 이번 총선은 내년 4월10일에 실시된다. 김시범기자

 

제22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될 예정이지만 원외 도전자들의 난항은 이어질 전망이다. 국회가 아직 선거구 획정 등 선거 제도를 합의하지 않아 신인들이 선거운동, 선거사무소 개소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정치권에 따르면 선거구 획정이 안 된 상태에서 12일부터 경기·인천 등 전국 253개 선거구를 기준으로 예비후보 등록이 개시된다.

 

지난 5일 선관위 선거구획정위원회가 국회에 제출한 선거구 획정안을 보면 경기·인천 지역 선거구가 각각 3곳과 1곳이 증가하고 2곳이 감소해 경기 1곳과 인천 1곳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경기는 현재 59석에서 60석, 인천은 13석에서 14석이 된다. 특히 경기 1곳은 구역이 조정되고, 경기·인천 8곳은 경계가 조정되도록 했다.

 

조정이 예상되는 지역의 정치 신인들은 선거구 획정을 서둘러 달라고 입을 모았다. 여권의 한 도전자는 “선거사무소를 어디에 설치할지 고민이 컸다”며 “기존 지역 대신 조정이 예상되고 인구가 많은 곳에 사무소를 낼 수밖에 없었다”고 토로했다.

 

야권의 한 출마예정자는 “선거구가 바뀌면 선거운동 지역이 변경되는데 새로운 지역에서 활동하려면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상황이 이런 데도 국회는 선거구 획정, 비례대표 선정 등에서 합의하지 못하고 있다. 12월 임시국회가 열렸지만, 내년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않은 상태인 데다 야당의 ‘쌍특검’ 및 국정조사 추진과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까지 예상되면서 국회 운영은 난항이 예고된 상태다. 더욱이 야당 내에서도 비례대표 선정 방식 등을 둘러싸고 갈등 조짐이 있어 여야의 선거제 합의는 언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이런 가운데 도내 출마 예정자들은 어깨띠 착용 등 선거 운동이 예비후보 등록에 따라 가능해지는 만큼 12일 구·시·군 선관위에 찾아가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다. 특히 거리 현수막은 정당 정책 내용 한정 등 규제가 있기 때문에 일부 당협·지역위원장은 이를 철거한 채 선거사무소 외벽에 자신을 알리는 현수막 게재를 준비 중이다.

 

다만 이와 관련해 일부 출마 예정자들은 속앓이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출마예정자는 “시세보다 20% 비싼 월세를 주고 겨우 선거사무소를 구했다”며 “다른 출마예정자들도 외벽에 현수막을 설치할 경우 조망권 문제가 있는 만큼 건물주한테 사정사정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