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값’이 고공행진 중인 가운데 지난달 맥주와 소주 물가 상승률이 또다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양주의 물가 상승률도 10%에 육박하며 9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맥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2.45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5.1% 올랐다. 이는 올해 2월(5.9%) 이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앞서 국내 주류 업체들은 지난해 잇따른 가격 인상에 나선 바 있다. 당시 맥주 물가 상승률은 10월(작년) 7.1%까지 올라갔다가 정부가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자 이후 둔화세가 지속됐다.
이후 맥주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7.0%에서 2월 5.9%, 3월 3.6%, 4월 0.7% 정도를 유지하다가 10월에도 1.0%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달 다시 5%대로 대폭 높아졌다.
‘서민의 술’ 소주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소주 물가 상승률은 4.7%로 올해 2월(8.6%)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 수치는 2월 8.6%에서 3월 1.4%로 뚝 떨어진 뒤 4~10월에는 0%대를 유지하다가 지난달 4%대로 다시 훌쩍 높아진 것이다.
이처럼 맥주·소주가 몸값을 다시 띄우는 이유는 주류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오비맥주는 지난 10월11일부터 카스와 한맥 등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 가격을 평균 6.9% 인상했고, 하이트진로는 지난달 9일부터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 출고가를 6.95% 올렸다. 또 테러와 켈리 등 맥주 제품 출고 가격도 평균 6.8% 인상했다.
이처럼 맥주와 소주 가격이 오르자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소주 물가도 둔화세에 제동이 걸렸다.
맥주(외식) 물가 등락률은 올해 2월 10.5% 올랐다가 이후 둔화세를 보이며 9월 4.4%까지 낮아졌다. 이후 상승폭은 10월 4.5%, 지난달 5.0%로 커졌다.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도 2월 이후 9월(4.4%)까지 7개월 연속 둔화했다가 10월과 지난달에 각각 4.7%로 높아졌다.
아울러 지난달에는 양주(위스키) 물가 상승 폭도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양주 물가 상승률은 9.6%로 2월(12.5%) 이후 가장 높았다. 양주 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0.6%에서 지난 10월 5.1%로 높아진 이후 지난달 10%에 육박했다.
한편 지난달 주요 주류 중 막걸리만 물가 상승률이 0.4%로 전월과 동일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