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 자제'에도 연말 술값 오르나…맥주·소주·양주 물가 ↑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경기일보DB

 

‘술값’이 고공행진 중인 가운데 지난달 맥주와 소주 물가 상승률이 또다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양주의 물가 상승률도 10%에 육박하며 9개월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맥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2.45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5.1% 올랐다. 이는 올해 2월(5.9%) 이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앞서 국내 주류 업체들은 지난해 잇따른 가격 인상에 나선 바 있다. 당시 맥주 물가 상승률은 10월(작년) 7.1%까지 올라갔다가 정부가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자 이후 둔화세가 지속됐다.

 

이후 맥주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7.0%에서 2월 5.9%, 3월 3.6%, 4월 0.7% 정도를 유지하다가 10월에도 1.0%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달 다시 5%대로 대폭 높아졌다.

 

‘서민의 술’ 소주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소주 물가 상승률은 4.7%로 올해 2월(8.6%)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이 수치는 2월 8.6%에서 3월 1.4%로 뚝 떨어진 뒤 4~10월에는 0%대를 유지하다가 지난달 4%대로 다시 훌쩍 높아진 것이다.

 

이처럼 맥주·소주가 몸값을 다시 띄우는 이유는 주류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인상했기 때문이다.

 

오비맥주는 지난 10월11일부터 카스와 한맥 등 주요 맥주 제품의 공장 출고 가격을 평균 6.9% 인상했고, 하이트진로는 지난달 9일부터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 출고가를 6.95% 올렸다. 또 테러와 켈리 등 맥주 제품 출고 가격도 평균 6.8% 인상했다.

 

이처럼 맥주와 소주 가격이 오르자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소주 물가도 둔화세에 제동이 걸렸다.

 

맥주(외식) 물가 등락률은 올해 2월 10.5% 올랐다가 이후 둔화세를 보이며 9월 4.4%까지 낮아졌다. 이후 상승폭은 10월 4.5%, 지난달 5.0%로 커졌다.

 

소주(외식) 물가 상승률도 2월 이후 9월(4.4%)까지 7개월 연속 둔화했다가 10월과 지난달에 각각 4.7%로 높아졌다.

 

아울러 지난달에는 양주(위스키) 물가 상승 폭도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양주 물가 상승률은 9.6%로 2월(12.5%) 이후 가장 높았다. 양주 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 -0.6%에서 지난 10월 5.1%로 높아진 이후 지난달 10%에 육박했다.

 

한편 지난달 주요 주류 중 막걸리만 물가 상승률이 0.4%로 전월과 동일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