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통·설사 증상 생기면 의심"...여름철 장관감염증 예방법은

image
질병관리청 제공.

 

여름철 고온 고습한 환경으로 세균증식이 활발해지며 장관감염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7일 질병관리청의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최근 3주간 주당 500명 이상의 관련 질환자가 신고되고 있다. 환자 수는 지난 6월 초(4~10일)와 비교하면 약 2배 증가했다.

 

image
연도별 동기간 장관감염증 신고건수. 질병청 제공

 

장관감염증은 병원성 세균, 바이러스, 원충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구토, 설사, 복통 등 장관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장관감염증은 오염된 물과 음식물 섭취 과정에서 주로 감염된다. 환자 또는 무증상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 환자가 직접 조리한 음식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드물게는 파리와 같은 곤충에 의해 오염물로부터 다른 음식물로 세균이 전파되기도 한다.

 

주요 장관감염증은 캄필로박터균, 살모넬라균,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이다. 특히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올해 29주(7월 16~22일)에 209명으로, 직전주(128명)보다 약 63.3% 증가했다.

 

image
주별 주요 장관감염증 환자 발생 추이(2018~2022년과 비교). 질병관리청 제공

 

캄필로박터균은 비살균 유제품·가금류가 주요 감염원이다. 생닭 표면엔 캄필로박터균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생닭을 만진 후엔 반드시 흐르는 물에 손을 씻어야 한다. 생닭을 보관할 땐 닭 표면의 물이 흘러 다른 식재료를 오염하지 않게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고 하단에 보관한다. 또 식재료 세척 시 가장 마지막에 하고, 씻는 물이 튀어 다른 식재료가 오염되지 않게 한다.

 

살모넬라균은 닭의 체내에 존재할 수 있는 균이다. 산란을 통해 계란을 오염시키거나 껍질 표면에 존재할 수 있어 계란을 만진 이후 반드시 손을 씻고,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계란을 구입해 냉장보관하되, 껍질을 깬 이후엔 빠른 시간 내 충분히 가열·조리한다.

 

장병원성대장균은 도축 과정 중의 육류 또는 덜 숙성된 퇴비 또는 오염도니 물로 채소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름철엔 식재료 등을 생으로 섭취하는 것을 자제하고, 충분히 익혀야 한다. 특히 이 질병은 여름철 식당과 집단급식소처럼 여러 사람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시설에선 더욱 주의해야 한다.

 

질병청은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과 조리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 장관감염증이 발생할 경우

 

질병관리청은 장관감염증 증상 환자가 표본감시기관인 의료기관에 방문했을 경우, 해당 의료기관 담당의사는 당국에 환자 발생을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시간, 장소에서 음식을 섭취한 이들 중 2명 이상이 구토·설사·복통 등 장관감염증상을 보일 경우 집단 발생으로 간주하고, 이런 경우 가까운 보건소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

 

집단발생의 경우 반드시 의료인이 신고할 필요는 없다. 발생한 식당업주, 증상발현자 또는 집단발생을 목격한 경우 등 누구나 가까운 관할지역 보건소로 신고할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