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1950년 6월25일 오전 4시 38선 전역에서 남쪽으로 기습 침공했다. 국군 전사자는 13만7천899명, 부상자 45만742명, 실종·포로 3만2천838명, 유엔군은 전사자 3만7천902명, 부상자 10만3천460명에 이른다. 남한과 북한을 합쳐 민간인 300만명 가까이 사망·실종됐고 1천만 이산가족은 지금까지 치유되지 않은 민족의 비극이다.
국사 교과서만큼은 국정이든 검정이든 교과서 심사권, 검정권, 관리·감독권과 책임은 분명히 국가에 있으며(서울고법 2011년 8월 판결), 무릇 ‘역사 쓰기’가 자유로운 아카데미즘의 결실이라 해도 ‘역사 쓰기’에는 사실과 사실을 확인하는 것에 대한 엄숙함이 뒤따라야 한다(박효종·서울대). 따라서 국사 교과서의 집필과 편찬은 국가가 책임지고 철저히 관리 감독해야 함을 시사한다.
한데 올해부터 초등학교 5, 6학년생들이 처음 공부하는 검정 사회 교과서 11종과 중·고교의 검정 국사 교과서는 문재인 정부가 2019년 검정 심사를 완료하고 2020년부터 일선 학교에서 채택해 사용 중인 교과서들이다. 이들 검정 교과서는 6·25에 대한 서술이 편향된 이념으로 묘하게 덧칠되고 북한 김정은을 미화하거나 북핵 개발 및 인권 문제 등을 왜곡하고 있는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 이는 6·25 호국 영령들과 참전용사에 대한 모독이다. 자학(自虐)의 붓에 증오의 먹물을 찍어 써 내려간 이데올로기 역사관, 대한민국의 건국과 발전상을 헐뜯는 역사 왜곡의 풀무질 앞에 우리 청소년들이 벌거숭이처럼 노출돼 있기에 심각하다.
역사의 기술은 학술적 논쟁 사안은 학술단체나 학문의 영역이고 역사 교과서는 주관적인 편견이나 선입견을 최대한 배제하고, 근거와 증거에 기반해 엄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정립된 내용이 기술돼야 한다.
요즘 병역의무 18개월을 기피하려는 사회 지도층 자제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말이 있다. 6·25 때 미국 장성의 자제 140여명이 참전해 그중 35명이 전사하거나 다쳤다. 그중에는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아들과 8군 사령관 조지 워커 장군의 아들, 유엔군 총사령관 클라크 대장의 아들이 포함돼 있었다. 사회 지도층의 도덕적 의무를 실천한 그들은 머나먼 이국 땅에서 일어난 전쟁에 오직 자유 수호를 위해 국가의 부름을 받았던 청년들이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에 윤석열 대통령은 “제복 입은 영웅들을 끝까지 기억하고 예우하는 것은 국가의 책무다”,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은 전사자의 피 묻은 전투복 위에서 시작됐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보훈정책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후세에 너의 조상이 누구냐고 묻거든 나의 조상은 트로이 전선에 참전한 용사였다고 일러 주라고 하던 고대 그리스 사람들의 긍지와 국가관을 오늘을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꼭 들려주고 싶다.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